수학 에서 트위스터 공간 (twistor空間, 영어 : twistor space )은 트위스터 방정식
∇
A
′
(
A
Ω
B
)
=
0
{\displaystyle \nabla _{A'}^{(A}\Omega ^{B)}=0}
의 해들로 이뤄진 복소선형공간 이다. 1960년대에 로저 펜로즈 와 말콤 맥콜럼(Malcolm MacCallum)이 묘사하였다.[ 1]
민코프스키 공간 에 대해 트위스터 방정식의 해들은 다음과 같은 형태이다:
Ω
A
(
x
)
=
ω
A
−
i
x
A
A
′
π
A
′
{\displaystyle \Omega ^{A}(x)=\omega ^{A}-ix^{AA'}\pi _{A'}}
여기서
ω
A
{\displaystyle \omega ^{A}}
와
π
A
′
{\displaystyle \pi _{A'}}
는 두 상수 바일 스피너들이고
x
A
A
′
=
σ
μ
A
A
′
x
μ
{\displaystyle x^{AA'}=\sigma _{\mu }^{AA'}x^{\mu }}
는 민코프스키 공간 의 한 점이다. 트위스터 공간은 4차원 민코프스키 공간 의 등각 대칭 을 자명하게 드러내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 2] [ 3] [ 4]
펜로즈는 양자 중력 이론의 하나인 트위스터 이론 을 발표하며, 트위스터 공간이 양자 중력 이론의 근본적 배경이고, 여기서 기존의 시공간 개념이 자연스럽게 나온다고 제안했다. 엔드류 호지스 에 따르면, 트위스터 공간은 복소수 4개를 가지고 광자의 움직임을 개념화 하는데 유용하다고 한다. 또한 트위스터 공간은 약한 상호작용 의 비대칭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지 모른다고 한다.[ 5]
트위스터 공간은 다양한 시공간 차원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체
K
{\displaystyle K}
수리물리학 에서는
K
=
R
{\displaystyle K=\mathbb {R} }
또는
K
=
C
{\displaystyle K=\mathbb {C} }
인 경우만 생각한다.
2차원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Δ
+
{\displaystyle \Delta _{+}}
,
Δ
−
{\displaystyle \Delta _{-}}
수리물리학 에서, 이는 왼쪽·오른쪽 바일 스피너 (
K
=
C
{\displaystyle K=\mathbb {C} }
인 경우) 또는 왼쪽·오른쪽 마요라나-바일 스피너(
K
=
R
{\displaystyle K=\mathbb {R} }
인 경우)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4차원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V
=
Δ
+
⊗
K
Δ
−
{\displaystyle V=\Delta _{+}\otimes _{K}\Delta _{-}}
을 정의할 수 있다. (물리학적으로, 이는 [복소화한] 시공간 에 해당한다.) 그 위에는 비퇴화 이차 형식
Q
(
v
)
=
det
v
{\displaystyle Q(v)=\det v}
이 존재한다. (
K
=
R
{\displaystyle K=\mathbb {R} }
인 경우 이는 부호수 (2,2)를 가진다.)
V
{\displaystyle V}
위에는
GL
(
Δ
+
)
×
GL
(
Δ
−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Delta _{+})\times \operatorname {GL} (\Delta _{-})}
가 작용 하며, 이 가운데
SL
(
Δ
+
)
×
SL
(
Δ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L} (\Delta _{+})\times \operatorname {SL} (\Delta _{-})}
의 작용은
Q
{\displaystyle Q}
를 보존한다. 즉, 이는 동형 사상
SO
(
V
,
Q
)
≅
SL
(
Δ
+
)
×
SL
(
Δ
−
)
{
(
1
,
1
)
,
(
−
1
,
−
1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V,Q)\cong {\frac {\operatorname {SL} (\Delta _{+})\times \operatorname {SL} (\Delta _{-})}{\{(1,1),(-1,-1)\}}}}
을 정의한다. 사실, 4차원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를 이렇게 2차원 벡터 공간의 텐서곱 으로 나타내는 구조는
V
{\displaystyle V}
위의 선형 등각 구조와 동치이다.
이제, 다음과 같은 공간을 생각하자.
F
=
P
(
Δ
+
∨
)
×
V
=
P
(
Δ
+
∨
)
×
Δ
+
⊗
Δ
−
{\displaystyle F=\mathbb {P} (\Delta _{+}^{\vee })\times V=\mathbb {P} (\Delta _{+}^{\vee })\times \Delta _{+}\otimes \Delta _{-}}
이 5차원 비특이 대수다양체
F
{\displaystyle F}
를 대응 공간 (對應空間, 영어 : correspondence space )이라고 한다. 그 국소 좌표는
(
x
α
α
˙
,
[
λ
α
]
)
{\displaystyle (x^{\alpha {\dot {\alpha }}},[\lambda _{\alpha }])}
로 쓸 수 있다. 여기서
α
{\displaystyle \alpha }
는
Δ
+
{\displaystyle \Delta _{+}}
의 지표이며,
α
˙
{\displaystyle {\dot {\alpha }}}
는
Δ
−
{\displaystyle \Delta _{-}}
의 지표이다.
그렇다면,
Δ
+
{\displaystyle \Delta _{+}}
와 그 쌍대 공간
Δ
+
∨
{\displaystyle \Delta _{+}^{\vee }}
사이의 쌍대성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사영 사상이 유도된다.
P
(
Δ
+
∨
)
×
(
Δ
+
⊗
Δ
−
)
→
P
(
Δ
−
⊕
Δ
+
∨
)
≅
P
K
3
{\displaystyle \mathbb {P} (\Delta _{+}^{\vee })\times (\Delta _{+}\otimes \Delta _{-})\to \mathbb {P} (\Delta _{-}\oplus \Delta _{+}^{\vee })\cong \mathbb {P} _{K}^{3}}
(
x
α
α
˙
,
[
λ
α
]
)
↦
[
∑
α
λ
α
x
α
α
˙
:
λ
α
]
{\displaystyle (x^{\alpha {\dot {\alpha }}},[\lambda _{\alpha }])\mapsto \left[\sum _{\alpha }\lambda _{\alpha }x^{\alpha {\dot {\alpha }}}:\lambda _{\alpha }\right]}
이 함수는 전사 함수 가 아니며, 그 상은 다음과 같다.
T
=
{
[
ψ
:
λ
]
:
ψ
∈
Δ
−
,
λ
∈
Δ
+
∨
,
λ
≠
0
}
⊊
P
(
Δ
−
⊕
Δ
+
∨
)
{\displaystyle T=\{[\psi :\lambda ]\colon \psi \in \Delta _{-},\;\lambda \in \Delta _{+}^{\vee },\;\lambda \neq 0\}\subsetneq \mathbb {P} (\Delta _{-}\oplus \Delta _{+}^{\vee })}
이는 3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 속의 열린 부분 스킴 을 이루며, 그 여집합 은
{
[
ψ
:
0
]
:
ψ
∈
Δ
−
}
≅
P
(
Δ
−
)
{\displaystyle \{[\psi :0]\colon \psi \in \Delta _{-}\}\cong \mathbb {P} (\Delta _{-})}
이다. 즉,
T
{\displaystyle T}
는 3차원 준사영 대수다양체 를 이룬다. 이를 트위스터 공간 이라고 하며, 그 속의 임의의 원소
[
ψ
:
λ
]
{\displaystyle [\psi :\lambda ]}
를 트위스터 (영어 : twistor )라고 한다.
이는 사영 사상
T
→
P
(
Δ
+
∨
)
{\displaystyle T\to \mathbb {P} (\Delta _{+}^{\vee })}
[
ψ
:
λ
]
↦
[
λ
]
(
ψ
∈
Δ
−
,
λ
∈
Δ
+
∨
)
{\displaystyle [\psi :\lambda ]\mapsto [\lambda ]\qquad (\psi \in \Delta _{-},\;\lambda \in \Delta _{+}^{\vee })}
을 가지며, 이 사영 아래
T
{\displaystyle T}
는
P
(
Δ
+
∨
)
≅
P
K
1
{\displaystyle \mathbb {P} (\Delta _{+}^{\vee })\cong \mathbb {P} _{K}^{1}}
위의 2차원 벡터 다발
O
(
1
)
⊕
O
(
1
)
{\displaystyle {\mathcal {O}}(1)\oplus {\mathcal {O}}(1)}
의 전체 공간과 동형이다.
즉, 대응 공간
F
{\displaystyle F}
는 (복소화) 시공간과 트위스터 공간 둘 다 위의 올다발을 이룬다.
P
(
Δ
+
∨
)
↞
T
↞
P
(
Δ
+
∨
)
×
V
↠
V
{\displaystyle \mathbb {P} (\Delta _{+}^{\vee })\twoheadleftarrow T\twoheadleftarrow \mathbb {P} (\Delta _{+}^{\vee })\times V\twoheadrightarrow V}
왼쪽·오른쪽 바일 스피너를 고르는 대신, 둘 다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더 큰 트위스터 공간을 얻으며, 이를 앰비트위스터 공간 (영어 : ambitwistor space )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대응 공간
F
=
Δ
+
⊗
Δ
−
⊕
P
(
Δ
+
∨
)
⊕
P
(
Δ
−
∨
)
{\displaystyle F=\Delta _{+}\otimes \Delta _{-}\oplus \mathbb {P} (\Delta _{+}^{\vee })\oplus \mathbb {P} (\Delta _{-}^{\vee })}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이는 사상
F
→
P
(
Δ
−
⊕
Δ
+
∨
)
×
P
(
Δ
−
⊕
Δ
−
∨
)
{\displaystyle F\to \mathbb {P} (\Delta _{-}\oplus \Delta _{+}^{\vee })\times \mathbb {P} (\Delta _{-}\oplus \Delta _{-}^{\vee })}
(
x
,
λ
+
,
λ
−
)
↦
(
[
x
i
j
λ
i
+
,
λ
+
]
,
[
x
i
j
λ
j
−
,
λ
−
]
)
=
(
[
ξ
+
,
λ
+
]
,
[
ξ
−
,
λ
−
]
)
{\displaystyle (x,\lambda ^{+},\lambda ^{-})\mapsto ([x^{ij}\lambda _{i}^{+},\lambda ^{+}],[x^{ij}\lambda _{j}^{-},\lambda _{-}])=([\xi _{+},\lambda ^{+}],[\xi _{-},\lambda ^{-}])}
을 정의한다. 그 상은
λ
+
≠
0
{\displaystyle \lambda ^{+}\neq 0}
λ
−
≠
0
{\displaystyle \lambda ^{-}\neq 0}
ξ
+
α
λ
α
+
=
ξ
−
α
˙
λ
α
˙
−
{\displaystyle \xi _{+}^{\alpha }\lambda _{\alpha }^{+}=\xi _{-}^{\dot {\alpha }}\lambda _{\dot {\alpha }}^{-}}
를 따른다. 즉, 이는 두 3차원 사영 공간 의 곱공간 속의 이차 초곡면 이다. 이 5차원 초곡면
T
5
{\displaystyle T_{5}}
를 앰비트위스터 공간 이라고 한다. 앰비트위스터 공간은 물론 왼쪽 또는 오른쪽 트위스터 공간
T
3
{\displaystyle T_{3}}
으로의 사영 사상
T
5
↠
T
3
{\displaystyle T_{5}\twoheadrightarrow T_{3}}
을 갖는다.
또한,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영 사상이 존재한다.
T
5
→
P
(
Δ
+
∨
⊗
Δ
−
∨
⊕
K
)
≅
P
4
{\displaystyle T_{5}\to \mathbb {P} (\Delta _{+}^{\vee }\otimes \Delta _{-}^{\vee }\oplus K)\cong \mathbb {P} ^{4}}
(
[
x
α
α
˙
λ
α
+
:
λ
+
]
,
[
x
α
α
˙
λ
α
˙
−
:
λ
−
]
)
→
[
x
α
α
˙
λ
α
+
:
λ
+
:
λ
+
⊗
λ
−
]
{\displaystyle ([x^{\alpha {\dot {\alpha }}}\lambda _{\alpha }^{+}:\lambda ^{+}],[x^{\alpha {\dot {\alpha }}}\lambda _{\dot {\alpha }}^{-}:\lambda ^{-}])\to [x^{\alpha {\dot {\alpha }}}\lambda _{\alpha }^{+}:\lambda ^{+}:\lambda ^{+}\otimes \lambda ^{-}]}
그 상은 4차원 사영 공간
P
(
Δ
+
∨
⊗
Δ
−
∨
⊕
K
)
{\displaystyle \mathbb {P} (\Delta _{+}^{\vee }\otimes \Delta _{-}^{\vee }\oplus K)}
속에서
det
(
λ
+
⊗
λ
−
)
=
0
{\displaystyle \det(\lambda ^{+}\otimes \lambda ^{-})=0}
으로 정의되는 3차원 이차 초곡면 이다. 이
T
3
′
{\displaystyle T_{3}'}
는 초평면 트위스터 공간 (영어 : hyperplane twistor space )이라고 한다.[ 6] 이는 세그레 사상
P
(
Δ
+
∨
)
×
P
(
Δ
−
∨
)
→
P
(
Δ
+
∨
⊗
Δ
−
∨
)
{\displaystyle \mathbb {P} (\Delta _{+}^{\vee })\times \mathbb {P} (\Delta _{-}^{\vee })\to \mathbb {P} (\Delta _{+}^{\vee }\otimes \Delta _{-}^{\vee })}
을 통하여, 사실
P
(
Δ
+
∨
)
×
P
(
Δ
−
∨
)
{\displaystyle \mathbb {P} (\Delta _{+}^{\vee })\times \mathbb {P} (\Delta _{-}^{\vee })}
위의 선다발
O
P
(
Δ
+
∨
)
×
P
(
Δ
−
∨
)
(
1
,
1
)
{\displaystyle {\mathcal {O}}_{\mathbb {P} (\Delta _{+}^{\vee })\times \mathbb {P} (\Delta _{-}^{\vee })}(1,1)}
의 전체 공간과 같다.
다른 차원에서도 유사하게 트위스터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차원을 생각하자. 즉,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체
K
{\displaystyle K}
4차원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Δ
{\displaystyle \Delta }
(6차원 마요라나-바일 스피너)
그렇다면
V
=
⋀
2
Δ
{\displaystyle V=\bigwedge ^{2}\Delta }
를 정의하면,
V
{\displaystyle V}
위에는
SL
(
Δ
)
×
SL
(
Δ
)
{\displaystyle \operatorname {SL} (\Delta )\times \operatorname {SL} (\Delta )}
가 작용한다.
V
{\displaystyle V}
위에는 비퇴화 이차 형식
Q
(
v
)
=
ϵ
i
j
k
l
v
i
j
v
k
l
{\displaystyle Q(v)=\epsilon _{ijkl}v^{ij}v^{kl}}
이 작용하며, 이에 대하여 불변이다. (여기서
ϵ
i
j
k
l
{\displaystyle \epsilon _{ijkl}}
은 레비치비타 기호 이다.
K
=
R
{\displaystyle K=\mathbb {R} }
일 때 이는 부호수 (3,3)를 가진다.) 이는 동형 사상
SO
(
3
,
3
)
≅
SL
(
4
)
{
1
,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3,3)\cong {\frac {\operatorname {SL} (4)}{\{1,-1\}}}}
에서 유래한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공간
(
⋀
2
Δ
)
×
P
(
Δ
∨
)
{\displaystyle \left(\bigwedge ^{2}\Delta \right)\times \mathbb {P} (\Delta ^{\vee })}
은 다음과 같은 사영 사상을 갖는다.
⋀
2
Δ
×
P
(
Δ
∨
)
→
P
(
Δ
⊕
Δ
∨
)
{\displaystyle \bigwedge ^{2}\Delta \times \mathbb {P} (\Delta ^{\vee })\to \mathbb {P} (\Delta \oplus \Delta ^{\vee })}
(
v
i
j
,
[
λ
i
]
)
↦
[
∑
i
v
i
j
λ
i
:
λ
i
]
{\displaystyle (v^{ij},[\lambda _{i}])\mapsto \left[\sum _{i}v^{ij}\lambda _{i}:\lambda _{i}\right]}
이는 마찬가지로
P
(
Δ
∨
⊕
Δ
)
≅
P
7
{\displaystyle \mathbb {P} (\Delta ^{\vee }\oplus \Delta )\cong \mathbb {P} ^{7}}
의 부분 집합이다. 그런데
∑
i
,
j
(
v
i
j
λ
i
)
λ
j
=
0
{\displaystyle \sum _{i,j}(v^{ij}\lambda _{i})\lambda _{j}=0}
이므로, 그 상은
T
=
{
[
ξ
:
λ
]
:
ξ
i
λ
i
=
0
,
λ
≠
0
}
⊊
P
(
Δ
⊕
Δ
∨
)
{\displaystyle T=\{[\xi :\lambda ]\colon \xi ^{i}\lambda _{i}=0,\;\lambda \neq 0\}\subsetneq \mathbb {P} (\Delta \oplus \Delta ^{\vee })}
이다. 이는 6차원 준사영 대수다양체 이다. 이 공간
T
{\displaystyle T}
를 6차원 공간의 트위스터 공간 이라고 하며, 그 원소
[
ξ
:
λ
]
{\displaystyle [\xi :\lambda ]}
를 트위스터 라고 한다.
T
{\displaystyle T}
는 3차원 사영 공간
P
(
Δ
∨
)
{\displaystyle \mathbb {P} (\Delta ^{\vee })}
위의 3차원 벡터 다발을 이룬다. 이는 4차원 벡터 다발
Δ
⊗
O
P
(
Δ
∨
)
{\displaystyle \Delta \otimes {\mathcal {O}}_{\mathbb {P} (\Delta ^{\vee })}}
의 부분 다발이며, 짧은 완전열
0
→
T
→
Δ
⊗
O
P
(
Δ
∨
)
→
(
ξ
,
λ
)
↦
ξ
i
λ
i
O
P
(
Δ
∨
)
(
2
)
→
0
{\displaystyle 0\to T\to \Delta \otimes {\mathcal {O}}_{\mathbb {P} (\Delta ^{\vee })}\,{\overset {(\xi ,\lambda )\mapsto \xi ^{i}\lambda _{i}}{\to }}\,{\mathcal {O}}_{\mathbb {P} (\Delta ^{\vee })}(2)\to 0}
을 따른다.[ 6] :(3.9)
⋀
2
Δ
↞
(
⋀
2
Δ
)
×
P
(
Δ
∨
)
↠
T
↠
P
(
Δ
∨
)
∩
Spec
K
[
Δ
⊕
Δ
∨
]
(
ξ
i
λ
j
:
ξ
∈
Δ
,
λ
∈
Δ
∨
)
∩
P
(
Δ
⊕
Δ
∨
)
{\displaystyle {\begin{matrix}\bigwedge ^{2}\Delta &\twoheadleftarrow &\left(\bigwedge ^{2}\Delta \right)\times \mathbb {P} (\Delta ^{\vee })&\twoheadrightarrow &T&\twoheadrightarrow &\mathbb {P} (\Delta ^{\vee })\\&&&&\cap \\&&&&\operatorname {Spec} {\frac {K[\Delta \oplus \Delta ^{\vee }]}{(\xi ^{i}\lambda _{j}\colon \xi \in \Delta ,\;\lambda \in \Delta ^{\vee })}}\\&&&&\cap \\&&&&\mathbb {P} (\Delta \oplus \Delta ^{\vee })\end{matrix}}}
3차원에서도 마찬가지로 트위스터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트위스터 공간은 간혹 미니트위스터 공간 (영어 : minitwistor space )라고 한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체
K
{\displaystyle K}
2차원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Δ
{\displaystyle \Delta }
(3차원 [마요라나-]바일 스피너의 공간)
그렇다면 3차원 벡터 공간
V
=
Sym
2
Δ
{\displaystyle V=\operatorname {Sym} ^{2}\Delta }
를 정의할 수 있다.
dim
Δ
=
2
{\displaystyle \dim \Delta =2}
이므로,
Δ
{\displaystyle \Delta }
위의 심플렉틱 벡터 공간 구조는 모두 서로 비례한다. 임의의 심플렉틱 벡터 공간 구조
ω
:
Δ
→
Δ
∨
{\displaystyle \omega \colon \Delta \to \Delta ^{\vee }}
를 고른다면,
V
{\displaystyle V}
는 딸림표현
s
l
(
Δ
)
{\displaystyle {\mathfrak {sl}}(\Delta )}
와 동형이며, 이는 킬링 형식 을 갖춘다. 이는 2×2 행렬의 행렬식 에 비례한다. (
K
=
R
{\displaystyle K=\mathbb {R} }
일 때,
V
{\displaystyle V}
위의 이차 형식 의 부호수는 (2,1)이므로, 이는 3차원 민코프스키 공간 이다.) 즉, 이는 동형 사상
SL
(
Δ
)
≅
SO
(
V
,
det
)
/
{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SL} (\Delta )\cong \operatorname {SO} (V,\det )/\{\pm 1\}}
을 실현한다. 물론, 사용한 심플렉틱 벡터 공간 구조를
ω
↦
λ
ω
{\displaystyle \omega \mapsto \lambda \omega }
와 같이 바꾸더라도, 우변에서 이는 이차 형식을 스칼라배 재정의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우변은 사용한 심플렉틱 벡터 공간 구조에 불변이다.
이 경우, 대응 공간
F
=
V
×
P
(
Δ
∨
)
{\displaystyle F=V\times \mathbb {P} (\Delta ^{\vee })}
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상을 정의할 수 있다.
F
→
P
(
K
[
1
]
⊕
Δ
∨
)
≅
P
(
2
,
1
,
1
)
{\displaystyle F\to \mathbb {P} (K[1]\oplus \Delta ^{\vee })\cong \mathbb {P} (2,1,1)}
(
x
i
j
,
λ
i
)
↦
[
x
i
j
λ
i
λ
j
:
λ
1
:
λ
2
]
{\displaystyle (x^{ij},\lambda _{i})\mapsto [x^{ij}\lambda _{i}\lambda _{j}:\lambda _{1}:\lambda _{2}]}
여기서
K
[
1
]
⊕
Δ
∨
{\displaystyle K[1]\oplus \Delta ^{\vee }}
는 1등급 성분이
Δ
∨
{\displaystyle \Delta ^{\vee }}
이며 2등급 성분이
K
{\displaystyle K}
인 등급 벡터 공간 이며, 이에 대하여 가중 사영 공간 을 취할 수 있다. 이 사상의 상을 트위스터 공간
T
{\displaystyle T}
라고 한다. 이는 2차원 준사영 대수다양체 이다.
즉, 이는 가중 사영 공간의 열린집합 을 정의한다. 사실, 사영 사상
P
(
K
[
1
]
⊕
Δ
∨
)
→
P
(
Δ
∨
)
≅
P
1
{\displaystyle \mathbb {P} (K[1]\oplus \Delta ^{\vee })\to \mathbb {P} (\Delta ^{\vee })\cong \mathbb {P} ^{1}}
[
ξ
:
λ
1
:
λ
2
]
↦
[
λ
1
:
λ
2
]
{\displaystyle [\xi :\lambda _{1}:\lambda _{2}]\mapsto [\lambda _{1}:\lambda _{2}]}
에 대하여, 이는 선다발 을 이룬다. 그 단면
ξ
=
x
i
j
λ
i
λ
j
{\displaystyle \xi =x^{ij}\lambda _{i}\lambda _{j}}
는
(
λ
1
,
λ
2
)
{\displaystyle (\lambda _{1},\lambda _{2})}
에 대한 2차 함수이므로, 이는 선다발
O
(
2
)
{\displaystyle {\mathcal {O}}(2)}
에 해당한다. 이는 사실 사영 직선 위의 접다발 에 해당한다. 즉,
T
≅
T
P
(
Δ
∨
)
{\displaystyle T\cong \mathrm {T} \mathbb {P} (\Delta ^{\vee })}
이다.
가중 사영 공간은 물론 다음과 같이 4차원 사영 공간으로 매장된다.
P
(
K
[
1
]
⊕
Δ
∨
)
→
P
(
K
⊕
Sym
2
Δ
∨
)
≅
P
4
{\displaystyle \mathbb {P} (K[1]\oplus \Delta ^{\vee })\to \mathbb {P} (K\oplus \operatorname {Sym} ^{2}\Delta ^{\vee })\cong \mathbb {P} ^{4}}
[
ξ
:
λ
i
]
↦
[
ξ
:
λ
i
λ
j
]
{\displaystyle [\xi :\lambda _{i}]\mapsto [\xi :\lambda _{i}\lambda _{j}]}
즉,
T
{\displaystyle T}
는 4차원 사영 공간 속의 2차원 준사영 대수다양체 이다.
Sym
2
Δ
↞
(
Sym
2
Δ
)
×
P
(
Δ
∨
)
↠
O
P
(
Δ
∨
)
(
2
)
↠
P
(
Δ
∨
)
∩
P
(
K
[
1
]
⊕
Δ
∨
)
∩
P
(
K
⊕
Sym
2
Δ
∨
)
{\displaystyle {\begin{matrix}\operatorname {Sym} ^{2}\Delta &\twoheadleftarrow &(\operatorname {Sym} ^{2}\Delta )\times \mathbb {P} (\Delta ^{\vee })&\twoheadrightarrow &{\mathcal {O}}_{\mathbb {P} (\Delta ^{\vee })}(2)&\twoheadrightarrow &\mathbb {P} (\Delta ^{\vee })\\&&&&\cap \\&&&&\mathbb {P} (K[1]\oplus \Delta ^{\vee })\\&&&&\cap \\&&&&\mathbb {P} (K\oplus \operatorname {Sym} ^{2}\Delta ^{\vee })\end{matrix}}}
4차원 트위스터 공간
T
↞
π
T
F
↠
π
V
V
=
Δ
+
⊗
Δ
−
{\displaystyle T\,{\overset {\pi _{T}}{\twoheadleftarrow }}\,F\,{\overset {\pi _{V}}{\twoheadrightarrow }}\,V=\Delta _{+}\otimes \Delta _{-}}
을 생각하자.
이 경우, 시공간
V
{\displaystyle V}
와 트위스터 공간
T
{\displaystyle T}
사이에 다음과 같은 대응이 존재한다.
위 표에서 영평면 (零平面, 영어 : null plane )이란 (원점을 지나지 않을 수 있는) 2차원 평면
X
{\displaystyle X}
가운데, 임의의 두 점
x
,
y
∈
X
{\displaystyle x,y\in X}
에 대하여
(
x
−
y
)
2
=
0
{\displaystyle (x-y)^{2}=0}
인 것이다.
사실, 이는 근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성질에서 기인한다. 우선, 4차원 벡터 공간 속의 2차원 그라스만 다양체
Gr
(
2
,
4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2,4)}
를 생각하자. 그 속의 닫힌점은 사영 공간
P
3
{\displaystyle \mathbb {P} ^{3}}
속의 사영 직선 에 대응한다. 즉,
Gr
(
2
,
4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2,4)}
는
P
3
{\displaystyle \mathbb {P} ^{3}}
속의 사영 직선 의 모듈라이 공간 이다.
이제, 계수를 복소수체 로 잡으면, 복소다양체
Gr
(
2
,
4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2,4)}
에 적절한 ‘실수 형식’을 주면, 이는 4차원 초구
S
4
↪
Gr
(
2
,
4
;
C
)
{\displaystyle \mathbb {S} ^{4}\hookrightarrow \operatorname {Gr} (2,4;\mathbb {C} )}
가 된다. 즉,
S
4
{\displaystyle \mathbb {S} ^{4}}
의 점은 트위스터 공간 속의 직선을 정의한다. 여기서 포함 사상은
C
4
≅
H
2
{\displaystyle \mathbb {C} ^{4}\cong \mathbb {H} ^{2}}
의 선택에 의하여 유도되는 포함 관계
S
4
≅
P
H
1
→
P
C
3
{\displaystyle \mathbb {S} ^{4}\cong \mathbb {P} _{\mathbb {H} }^{1}\to \mathbb {P} _{\mathbb {C} }^{3}}
이다. (여기서
H
{\displaystyle \mathbb {H} }
는 사원수 대수 이다.)
3차원 트위스터 공간
T
↞
π
T
F
↠
π
V
V
=
Sym
2
(
Δ
)
{\displaystyle T\,{\overset {\pi _{T}}{\twoheadleftarrow }}\,F\,{\overset {\pi _{V}}{\twoheadrightarrow }}\,V=\operatorname {Sym} ^{2}(\Delta )}
을 생각하자. 복소화 시공간의 임의의 점
x
i
j
∈
V
{\displaystyle x^{ij}\in V}
에 대응하는 트위스터 공간의 부분 공간
π
T
(
π
V
−
1
(
x
)
)
⊂
T
{\displaystyle \pi _{T}(\pi _{V}^{-1}(x))\subset T}
는 다음과 같다.
π
T
∘
π
V
−
1
(
x
)
=
{
[
x
i
j
λ
i
λ
j
:
λ
i
]
:
λ
∈
Δ
∨
}
⊊
T
{\displaystyle \pi _{T}\circ \pi _{V}^{-1}(x)=\{[x^{ij}\lambda _{i}\lambda _{j}:\lambda _{i}]\colon \lambda \in \Delta ^{\vee }\}\subsetneq T}
이는 트위스터 공간의 한 사영 직선
P
1
↪
T
{\displaystyle \mathbb {P} ^{1}\hookrightarrow T}
에 해당한다. 또한, 이는 사영 사상
T
↠
P
(
Δ
∨
)
{\displaystyle T\twoheadrightarrow \mathbb {P} (\Delta ^{\vee })}
아래 각
λ
∈
Δ
∨
{\displaystyle \lambda \in \Delta ^{\vee }}
에 대하여 정확히 하나의 점을 포함하므로, 이는
O
P
(
Δ
∨
)
(
2
)
{\displaystyle {\mathcal {O}}_{\mathbb {P} (\Delta ^{\vee })}(2)}
의 단면 을 이룬다. 즉,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동형 사상이 존재한다.
Sym
2
Δ
≅
H
0
(
P
(
Δ
∨
)
,
O
(
2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2}\Delta \cong \operatorname {H} ^{0}(\mathbb {P} (\Delta ^{\vee }),{\mathcal {O}}(2))}
물론, 우변은 리만-로흐 정리 를 통해 3차원임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임의의 두 점
x
,
y
∈
V
{\displaystyle x,y\in V}
에 대응되는 단면
s
,
t
∈
H
0
(
P
(
Δ
∨
)
,
O
(
2
)
)
{\displaystyle s,t\in \operatorname {H} ^{0}(\mathbb {P} (\Delta ^{\vee }),{\mathcal {O}}(2))}
이 주어졌을 때, 이를
O
P
(
Δ
∨
)
(
2
)
{\displaystyle {\mathcal {O}}_{\mathbb {P} (\Delta ^{\vee })}(2)}
의 전체 공간의 부분 공간으로 간주할 때, 이는 정확히 두 개의 점에서 교차한다. 이것이
λ
,
λ
′
∈
P
(
Δ
∨
)
{\displaystyle \lambda ,\lambda '\in \mathbb {P} (\Delta ^{\vee })}
위에 있다고 하자. 그렇다면
(
x
−
y
)
i
j
λ
i
=
(
x
−
y
)
i
j
λ
i
′
=
0
{\displaystyle (x-y)^{ij}\lambda _{i}=(x-y)^{ij}\lambda '_{i}=0}
이 된다. 이것이 가능할 필요 충분 조건 은
(
x
−
y
)
i
j
∝
ϵ
i
k
ϵ
j
l
(
λ
k
λ
l
′
+
λ
l
λ
k
′
)
{\displaystyle (x-y)^{ij}\propto \epsilon ^{ik}\epsilon ^{jl}(\lambda _{k}\lambda '_{l}+\lambda _{l}\lambda '_{k})}
이다. 즉, (4차원과 달리) 3차원에서는 임의의 벡터는 스피너의 대칭화 텐서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특히,
λ
∝
λ
′
{\displaystyle \lambda \propto \lambda '}
일 필요 충분 조건은
(
x
−
y
)
2
=
0
{\displaystyle (x-y)^{2}=0}
인 것이다.
트위스터 공간의 한 점
[
ξ
:
λ
]
∈
P
(
Δ
∨
)
{\displaystyle [\xi :\lambda ]\in \mathbb {P} (\Delta ^{\vee })}
에 대응되는 두 시공간의 점
x
,
y
∈
Sym
2
(
Δ
)
{\displaystyle x,y\in \operatorname {Sym} ^{2}(\Delta )}
에 대하여,
x
i
j
λ
i
λ
j
=
ξ
{\displaystyle x^{ij}\lambda _{i}\lambda _{j}=\xi }
y
i
j
λ
i
λ
j
=
ξ
{\displaystyle y^{ij}\lambda _{i}\lambda _{j}=\xi }
이다. 즉
(
x
−
y
)
i
j
λ
i
λ
j
=
0
{\displaystyle (x-y)^{ij}\lambda _{i}\lambda _{j}=0}
이다. 이는 3개의 변수에 대하여 하나의 방정식이므로, 3차원 시공간 속의 어떤 평면을 정의한다. 또한,
x
−
y
{\displaystyle x-y}
는
Δ
∨
{\displaystyle \Delta ^{\vee }}
위의 계량을 정의하는 것으로 여기면,
λ
{\displaystyle \lambda }
는 그 영벡터를 이루며, 따라서
λ
{\displaystyle \lambda }
를 포함하는
Δ
∨
{\displaystyle \Delta ^{\vee }}
의 어떤 기저에 대하여
(
0
t
t
s
)
{\displaystyle {\begin{pmatrix}0&t\\t&s\end{pmatrix}}}
의 꼴이다. 즉, 이 평면을 정의하는 두 선형 독립 접벡터는 다음과 같다.
{
(
0
0
0
1
)
,
(
0
1
1
0
)
}
{\displaystyle \left\{{\begin{pmatrix}0&0\\0&1\end{pmatrix}},{\begin{pmatrix}0&1\\1&0\end{pmatrix}}\right\}}
여기서 첫 벡터는 노름이 0이며, 둘째 벡터는 첫째 벡터와 직교한다(즉, 첫째 벡터와의 내적이 0이다). 이러한 평면을 영평면 (영어 : null plane )이라고 한다. 물리학적으로, 이는 빛원뿔 과 접하는 평면으로 해석할 수 있다.
3차원 시공간
미니트위스터 공간
점
사영 직선 위의 대수적 벡터장
빛원뿔 과 접하는 평면
점
벡터의 스피너로의 분해
두 벡터장이 같은 점을 갖게 되는 두 점
노름이 0인 벡터
같은 점을 갖게 되는 점이 이중점
K
∈
{
R
,
C
}
{\displaystyle K\in \{\mathbb {R} ,\mathbb {C} \}}
라고 하자.
Δ
+
⊗
Δ
−
{\displaystyle \Delta _{+}\otimes \Delta _{-}}
위에서, 매끄러운 함수
ϕ
:
Δ
+
⊗
Δ
−
→
Sym
n
Δ
+
{\displaystyle \phi \colon \Delta _{+}\otimes \Delta _{-}\to \operatorname {Sym} ^{n}\Delta _{+}}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선형 편미분 방정식 을 정의할 수 있다.
∂
α
1
α
˙
ϕ
α
1
α
2
…
α
n
=
0
{\displaystyle \partial _{\alpha _{1}{\dot {\alpha }}}\phi ^{\alpha _{1}\alpha _{2}\dotso \alpha _{n}}=0}
이 선형 1차 편미분 방정식 의 해를 나선도
−
n
/
2
{\displaystyle -n/2}
의 영질량장 (영어 : zero-rest-mass field of helicity
−
n
/
2
{\displaystyle -n/2}
)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매끄러운 함수
ϕ
:
Δ
+
⊗
Δ
−
→
Sym
n
Δ
−
{\displaystyle \phi \colon \Delta _{+}\otimes \Delta _{-}\to \operatorname {Sym} ^{n}\Delta _{-}}
에 대하여 선형 1차 편미분 방정식
∂
α
α
˙
1
ϕ
α
˙
1
α
˙
2
…
α
˙
n
=
0
{\displaystyle \partial _{\alpha {\dot {\alpha }}_{1}}\phi ^{{\dot {\alpha }}_{1}{\dot {\alpha }}_{2}\dotso {\dot {\alpha }}_{n}}=0}
의 해를 나선도
n
/
2
{\displaystyle n/2}
의 영질량장 (영어 : zero-rest-mass field of helicity
−
n
/
2
{\displaystyle -n/2}
)이라고 한다.
h
=
0
{\displaystyle h=0}
일 때는, 우선
Δ
±
{\displaystyle \Delta _{\pm }}
에 각각 심플렉틱 벡터 공간 구조
ω
α
β
{\displaystyle \omega _{\alpha \beta }}
,
ω
α
˙
β
˙
{\displaystyle \omega _{{\dot {\alpha }}{\dot {\beta }}}}
를 부여하자. 그렇다면 2차 미분 연산자
◻
=
ω
α
β
ω
α
˙
β
˙
∂
α
α
˙
∂
β
β
˙
{\displaystyle \square =\omega ^{\alpha \beta }\omega ^{{\dot {\alpha }}{\dot {\beta }}}\partial _{\alpha {\dot {\alpha }}}\partial _{\beta {\dot {\beta }}}}
를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나선도 0의 영질량장 은 매끄러운 함수
ϕ
:
Δ
+
⊗
Δ
−
→
K
{\displaystyle \phi \colon \Delta _{+}\otimes \Delta _{-}\to K}
가운데
◻
ϕ
=
0
{\displaystyle \square \phi =0}
을 따르는 것이다. 2차원 벡터 공간 위의 심플렉틱 벡터 공간 구조는 모두 서로 비례하므로, 만약 다른 심플렉틱 벡터 공간 구조를 사용하더라도 나선도 0의 영질량장의 개념은 잘 정의된다. 나선도
h
{\displaystyle h}
의 영질량장의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을
V
h
{\displaystyle V_{h}}
라고 하자.
이제, 4차원 트위스터 공간
P
(
Δ
−
⊕
Δ
+
∨
)
←
π
T
Δ
+
⊗
Δ
−
×
P
(
Δ
+
∨
)
↠
π
V
Δ
+
⊗
Δ
−
{\displaystyle \mathbb {P} (\Delta _{-}\oplus \Delta _{+}^{\vee })\,{\overset {\pi _{T}}{\leftarrow }}\,\Delta _{+}\otimes \Delta _{-}\times \mathbb {P} (\Delta _{+}^{\vee })\,{\overset {\pi _{V}}{\twoheadrightarrow }}\,\Delta _{+}\otimes \Delta _{-}}
을 생각하자. 임의의 열린집합
U
⊆
P
(
Δ
−
⊕
Δ
+
∨
)
{\displaystyle U\subseteq \mathbb {P} (\Delta _{-}\oplus \Delta _{+}^{\vee })}
에 대하여,
π
V
(
π
T
−
1
(
U
)
)
=
U
′
{\displaystyle \pi _{V}(\pi _{T}^{-1}(U))=U'}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동형 사상이 존재한다.
H
1
(
U
,
O
(
2
h
−
2
)
)
≅
V
h
{\displaystyle \operatorname {H} ^{1}(U,{\mathcal {O}}(2h-2))\cong V_{h}}
즉, 트위스터 공간 위의
2
h
−
2
{\displaystyle 2h-2}
차 선다발 의 정칙 단면은 시공간 위의, 나선도
h
{\displaystyle h}
의 영질량장과 일대일 대응한다. 이를 펜로즈 변환 (영어 : Penrose transform )이라고 한다.
임의의 콤팩트 반단순 리 군
G
{\displaystyle G}
에 대하여,
4차원 유클리드 공간
M
{\displaystyle M}
위의
G
{\displaystyle G}
-양-밀스 이론 의 순간자
F
=
∗
F
{\displaystyle F=*F}
를 생각하자. 이 경우, 유클리드 공간을 복소화하여 4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
V
=
M
⊗
R
C
{\displaystyle V=M\otimes _{\mathbb {R} }\mathbb {C} }
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자기 쌍대성 조건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 경우,
V
{\displaystyle V}
위의 순간자의 모듈라이 공간 은 순간자 공간
T
{\displaystyle T}
위의 정칙
G
{\displaystyle G}
-주다발 가운데 ① 위상적으로 자명하며 ② 임의의 포함 사상
P
C
1
↪
T
{\displaystyle \mathbb {P} _{\mathbb {C} }^{1}\hookrightarrow T}
에 제한하였을 때 정칙적으로 자명한 것들의 모듈라이 공간 과 표준적으로 동형이다.[ 7] :Theorem 4.1 이 대응을 펜로즈-워드 변환 (영어 : Penrose–Ward transform )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사영 직선
P
1
(
Δ
+
∨
)
{\displaystyle \mathbb {P} ^{1}(\Delta _{+}^{\vee })}
는 두 개의 아핀 직선 으로 구성된 열린 덮개 를 가지며, 따라서 그 위의 벡터 다발
T
{\displaystyle T}
는 두 개의 3차원 아핀 공간
U
{\displaystyle U}
,
V
{\displaystyle V}
로 구성된 열린 덮개 를 갖는다. 위의 조건들을 따르는
G
{\displaystyle G}
-주다발
P
{\displaystyle P}
는 따라서 전이 함수
g
:
U
∩
V
→
G
{\displaystyle g\colon U\cap V\to G}
로 주어진다.
사영 사상
π
:
V
×
P
(
Δ
+
∨
)
↠
T
{\displaystyle \pi \colon V\times \mathbb {P} (\Delta _{+}^{\vee })\twoheadrightarrow T}
아래,
π
−
1
(
U
)
{\displaystyle \pi ^{-1}(U)}
와
π
−
1
(
V
)
{\displaystyle \pi ^{-1}(V)}
는
F
=
V
×
P
(
Δ
+
∨
)
{\displaystyle F=V\times \mathbb {P} (\Delta _{+}^{\vee })}
의 열린 덮개 를 이룬다.
{
π
−
1
(
U
)
,
π
−
1
(
V
)
}
{\displaystyle \{\pi ^{-1}(U),\pi ^{-1}(V)\}}
가
F
{\displaystyle F}
의 열린 덮개 를 이루므로, 항상
π
∗
g
=
h
−
1
k
{\displaystyle \pi ^{*}g=h^{-1}k}
h
:
π
−
1
(
U
)
→
G
{\displaystyle h\colon \pi ^{-1}(U)\to G}
k
:
π
−
1
(
V
)
→
G
{\displaystyle k\colon \pi ^{-1}(V)\to G}
으로 표현될 수 있다.
V
×
P
(
Δ
+
∨
)
{\displaystyle V\times \mathbb {P} (\Delta _{+}^{\vee })}
위에는 표준적인 벡터장
X
α
˙
=
λ
α
∂
α
α
˙
{\displaystyle X_{\dot {\alpha }}=\lambda ^{\alpha }\partial _{\alpha {\dot {\alpha }}}}
X
∈
Γ
(
T
F
⊗
Δ
−
∨
)
{\displaystyle X\in \Gamma (\mathrm {T} F\otimes \Delta _{-}^{\vee })}
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π
∗
g
:
π
−
1
(
U
)
∩
π
−
1
(
V
)
→
G
{\displaystyle \pi ^{*}g\colon \pi ^{-1}(U)\cap \pi ^{-1}(V)\to G}
는
0
=
X
(
π
∗
g
)
=
X
(
h
−
1
k
)
=
(
X
h
−
1
)
k
−
h
−
1
k
(
X
k
−
1
)
k
=
h
−
1
(
h
X
h
−
1
−
k
X
k
−
1
)
k
{\displaystyle 0=X(\pi ^{*}g)=X(h^{-1}k)=(Xh^{-1})k-h^{-1}k(Xk^{-1})k=h^{-1}\left(hXh^{-1}-kXk^{-1}\right)k}
를 따른다. 즉,
h
X
h
−
1
↾
(
π
−
1
(
U
)
∩
π
−
1
(
V
)
)
=
k
X
k
−
1
↾
(
π
−
1
(
U
)
∩
π
−
1
(
V
)
)
{\displaystyle hXh^{-1}\upharpoonright (\pi ^{-1}(U)\cap \pi ^{-1}(V))=kXk^{-1}\upharpoonright (\pi ^{-1}(U)\cap \pi ^{-1}(V))}
이다. 이를 짜깁기하여
A
~
α
˙
{\displaystyle {\tilde {A}}_{\dot {\alpha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A
~
:
F
→
l
i
e
(
G
)
⊗
Δ
−
∨
{\displaystyle {\tilde {A}}\colon F\to {\mathfrak {lie}}(G)\otimes \Delta _{-}^{\vee }}
A
~
{\displaystyle {\tilde {A}}}
는
X
{\displaystyle X}
에 비례하며,
X
{\displaystyle X}
는
λ
{\displaystyle \lambda }
에 비례하므로,
V
{\displaystyle V}
위의
l
i
e
(
G
)
{\displaystyle {\mathfrak {lie}}(G)}
값의 1차 미분 형식
A
∈
Ω
(
V
)
⊗
l
i
e
(
G
)
{\displaystyle A\in \Omega (V)\otimes {\mathfrak {lie}}(G)}
A
~
α
˙
=
A
α
α
˙
λ
α
{\displaystyle {\tilde {A}}_{\dot {\alpha }}=A_{\alpha {\dot {\alpha }}}\lambda ^{\alpha }}
을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는
V
{\displaystyle V}
위의 순간자를 정의하는 주접속 을 이룬다.
↑ R. Penrose and M. A. H. MacCallum, Twistor theory: An approach to the quantisation of fields and space-time. doi 10.1016/0370-1573(73)90008-2
↑ Wolf, Martin (2010년 10월 1일). “A first course on twistors, integrability and gluon scattering amplitudes”. 《Journal of Physics A: Mathematical and Theoretical》 (영어) 43 (39): 393001. arXiv :1001.3871 . Bibcode :2010JPhA...43M3001W . doi :10.1088/1751-8113/43/39/393001 .
↑ Dunajski, Maciej (2009년 10월 9일). “Twistor theory and differential equations”. 《Journal of Physics A: Mathematical and Theoretical》 (영어) 42 (40): 404004. arXiv :0902.0274 . Bibcode :2009JPhA...42N4004D . doi :10.1088/1751-8113/42/40/404004 .
↑ Bars, Itzhak. “Lectures on twistors” (영어). arXiv :hep-th/0601091 . Bibcode :2006hep.th....1091B .
↑ Andrew Hodges (2010년 5월 14일). 《One to Nine: The Inner Life of Numbers》 . Doubleday Canada. 142쪽. ISBN 978-0-385-67266-5 .
↑ 가 나 Sämann, Christopher; Wolf, Martin (2013). “On twistors and conformal field theories from six dimensions” (영어). arXiv :1111.2539 . doi :10.1063/1.4769410 .
↑ Sämann, Christian (2016). “Lectures on higher structures in M-theory” (영어). arXiv :1609.09815 .
↑ Penrose, Roger (1967). “Twistor Algebra”. 《Journal of Mathematical Physics》 (영어) 8 : 345. doi :10.1063/1.1705200 .
↑ Penrose, Roger (1968년 5월). “Twistor quantisation and curved space-time” (영어). doi :10.1007/BF00668831 .
↑ Penrose, Roger (1969). “Solutions of the zero-rest-mass equations”. 《Journal of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0 (38). doi :10.1063/1.1664756 .
↑ Ward, Richard Samuel (1977). “On self‐dual gauge fields”. 《Physics Letters A》 61 (2): 81–82. Bibcode :1977PhLA...61...81W . doi :10.1016/0375-9601(77)90842-8 . ISSN 0375-9601 . MR 0443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