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원군
(국구에서 넘어옴)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다. 조선시대에는 왕비의 아버지, 즉 왕의 장인인 국구(國舅)나 정일품 공신에게 주던 작위이다. 왕의 장인인 국구(國舅)는 후작(侯爵)에 해당되고, 정일품 공신은 백작(伯爵)에 해당되는 위격으로 작위 수여자의 본관을 따서 짓기도 한다.
조선의 부원군편집
국구편집
- 안천부원군 - 한경 추봉(태조의 장인)
- 상산부원군 - 강윤성 추봉(태조 의 장인)
- 월성부원군 - 김천서 추봉(정종의 장인)
- 여흥부원군 - 민제(태종의 장인)
- 청천부원군 - 심온(세종의 장인, 영의정 역임)
- 화산부원군 - 권전(문종의 장인)
- 여량부원군 - 송현수(단종의 장인)-세조2년 단종복위운동으로 추탈, 후에 숙종때 추층
- 파평부원군 - 윤번 추봉(세조의 장인)
- 청천부원군 - 한백륜(예종의 장인.익대공신3등,좌리공신2등)
- 상당부원군 - 한명회(예종,성종 의 장인.정난 1등공신, 좌익 1등공신, 익대 1등공신, 좌리 1등공신. 영의정 역임.)
- 함안부원군 - 윤기견 추봉(성종의 장인, 폐비 윤씨의 아버지) - 연산군 폐출 뒤 추탈
- 영원부원군 - 윤호(성종의 장인)
- 거창부원군 - 신승선(연산군의 장인)
- 익창부원군 - 신수근(중종의 장인) - 중종반정공신들이 연산군의 처남이란 이유로 사사, 딸 단경왕후 폐위와 함께 작호를 받지못하다 1739년 (영조15년) 추증
- 파산부원군 - 윤지임(중종의 장인)
- 파원부원군 - 윤여필(중종의 장인)
- 금성부원군 - 박용(인종의 장인)
- 청릉부원군 - 심강(명종의 장인, 영돈녕부사 역임, 영의정 추증)
- 반성부원군 - 박응순(선조의 장인)
- 연흥부원군 - 김제남(선조의 장인)
- 해녕부원군 - 김희철 추봉(선조의 장인, 공빈 김씨의 아버지, 광해군의 외조부, 영돈녕부사 추증)
- 문양부원군 - 류자신(광해군의 장인)
- 한원부원군 - 조창원(인조의 장인.영돈령부사 역임.)
- 서평부원군 - 한준겸(인조의 장인)
- 신풍부원군 - 장유 추봉(효종의 장인, 정사공신)
- 청풍부원군 - 김우명(현종의 장인)
- 경은부원군 - 김주신(숙종의 장인)
- 여양부원군 - 민유중(숙종의 장인)
- 광성부원군 - 김만기(숙종의 장인)
- 청은부원군 - 심호 추봉 (경종의 장인, 영의정 추증)
- 함원부원군 - 어유구(경종의 장인)
- 달성부원군 - 서종제 추봉(영조의 장인)
- 오흥부원군 - 김한구(영조의 장인)
- 청원부원군 - 김시묵 추봉(정조의 장인)
- 영안부원군 - 김조순(순조의 장인, 대제학, 영돈령부사 역임)
- 영흥부원군 - 김조근(헌종의 장인, 어영대장, 주사대장 역임)
- 익풍부원군 - 홍재룡(헌종의 장인)
- 영은부원군 - 김문근(철종의 장인)
- 여성부원군 - 민치록 추봉(고종의 장인)
- 여은부원군 - 민태호(순종의 장인)
- 해풍부원군 - 윤택영(순종의 장인)
공신편집
- 견성부원군 - 이사철(당시 우의정, 좌익공신 2등)
- 경림부원군 - 김명원(당시 우의정, 평난공신 3등)
- 고령부원군 - 신숙주(당시 1품관, 정난공신 2등)
- 고양부원군 - 신준(당시 좌참찬, 정국공신 3등)
- 곡산부원군 - 연사종(당시 판중군도총제부사, 개국원종공신 등)
- 광릉부원군 - 이극배(우의정, 좌익공신 3등)
- 광창부원군 - 이이첨(선무원종공신 등, 인목왕후 폐모)
- 광천부원군 - 이극증(익대공신 2등)
- 금천부원군 - 박은(좌명공신 3등, 반남군)
- 낙흥부원군 - 김자점(당시 좌의정, 정사공신 1등)
- 남양부원군 - 홍달손
- 남원부원군 - 황수신(좌익공신 3등. 관직은 영의정에 이르렀다.)
- 능성부원군 - 구치관(좌익공신 3등. 관직은 영의정에 이르렀다.)
- 덕풍부원군 - 이순신 추봉(선무공신 1등, 좌의정 추증)
- 철성부원군 - 박혁충(이조전서,한림원시강,태자첨사,공신)
- 동래부원군 - 정난종(이시애의 난 평정)
- 무령부원군 - 류자광(정국공신 1등)
- 무성부원군 - 윤형(광국공신 2등)
- 봉원부원군 - 정창손(좌익공신 2등, 익대공신 3등. 영의정 역임.)
- 상락부원군 - 김사형(당시 좌정승, 개국공신 1등)
- 상락부원군 - 김질(영의정 역임. 좌익공신 3등, 좌리공신 2등)
- 서성부원군 - 한확(당시 우의정, 정난공신 1등)
- 서원부원군 - 한계미(이조판서 역임. 좌익공신 3등, 좌리공신 2등)
- 서원부원군 - 정탁(당시 좌의정, 호종공신 3등)
- 선성부원군 - 노사신(익대공신 3등, 좌리공신 2등)
- 안성부원군 - 이숙번(좌명공신 1등)
- 연성부원군 - 박원형(이시애 난,우의정,좌의정,영의정. 좌익공신 3등)
- 연창부원군 - 김감(정국공신 2등)
- 영가부원군 - 권율 추봉(선무공신 1등, 영의정 추증)
- 영산부원군 - 김수온(좌리공신 4등,대광보국숭록대부 호조판서, 영중추부사)
- 완풍부원군 - 이서 추봉(정사공신 1등, 영의정 추증)
- 인산부원군 - 홍윤성(영의정 역임. 정난공신 2등, 좌익공신 3등, 좌리공신 1등.)
- 장흥부원군 - 마천목(내시위절제사.병마절도사.병조판서.영돈령부사 역임.영의정추증.좌명공신 3등)
- 장흥부원군 - 류순정(정국공신 1등)
- 진산부원군 - 하륜(영의정 역임.정사공신 1등, 좌명공신 1등)
- 진산부원군 - 강맹경(좌익공신 2등)
- 진원부원군 - 류근(호성공신 3등)
- 창녕부원군 - 조석문(영의정 역임. 좌익공신 3등, 적개공신 1등, 익대공신 3등, 좌리공신 1등)
- 청성부원군 - 한치형(영의정 역임. 좌리공신 3등)
- 청송부원군 - 심회 (영의정 역임, 익대공신 2등, 좌리공신 2등)
- 청천부원군 - 심연원 (영의정 역임, 위사공신 2등)
- 청천부원군 - 류순정 (영의정 역임. 정국공신 1등)
- 파평부원군 - 윤필상
- 평성부원군 - 신경진(영의정 역임. 정사공신 1등)
- 평양부원군 - 박석명(좌명공신 3등)
- 풍원부원군 - 류성룡(광국공신 2등, 호성공신 2등, 영의정 역임.)
- 하동부원군 - 정인지(당시 좌의정, 정난공신 1등)
- 하성부원군 - 정현조(익대공신 2등, 좌리공신 1등)
- 한산부원군 - 조영무(당시 우정승, 정사공신 1등 등)
- 한천부원군 - 조온(당시 참찬의정부사, 좌명공신 4등)
- 한평부원군 - 조연(당시 판좌군부사, 좌명공신 4등. 조선 태조의 생질.우의정 역임.)
- 해은부원군 - 오명항(분무공신 1등)
- 해원부원군 - 윤두수(광국공신 2등)
- 해평부원군 - 윤근수(광국공신 1등)
- 화천부원군 - 심정 (좌의정 역임, 정국공신 3등)
- 흥녕부원군 - 안경공(당시 집현전대제학, 개국공신 3등)
기타편집
- 상당부원군 - 이애(태조의 딸 경신공주의 남편)
- 용원부원군 - 조인벽(태조의 누이 정화공주의 남편)
- 홍양부원군 - 석양선 추봉(태조의 이모부)
- 길창부원군 - 권남
- 능천부원군 - 구수영
- 덕평부원군 - 기자헌
- 문성부원군 - 류자신
- 문창부원군 - 류희분
- 반성부원군 - 박응순
- 봉녕부원군 - 이복근
- 밀창부원군 - 박승종
- 연흥부원군 - 김제남
- 서녕부원군 - 정인홍
- 서원부원군 - 이거이
- 서원부원군 - 한상경
- 성산부원군 - 배극렴
- 성산부원군 - 이직
- 승평부원군 - 김류
- 아성부원군 - 이산해
- 양평부원군 - 허준
- 연릉부원군 - 이호민
- 연성부원군 - 이석형
- 연양부원군 - 이시백
- 연원부원군 - 이광정
- 연평부원군 - 이귀
- 영가부원군 - 김수동
- 영성부원군 - 최항
- 영천부원군 - 윤사로
- 영평부원군 - 최흥원
- 예천부원군 - 권중화
- 원평부원군 - 원두표
- 오성부원군 - 이항복
- 오흥부원군 - 김한구
- 옥성부원군 - 장만
- 완남부원군 - 이후원
- 완산부원군 - 이천우
- 완성부원군 - 최명길
- 완원부원군 - 이양우
- 완평부원군 - 이원익
- 옥천부원군 - 유창
- 운성부원군 - 박종우
- 의령부원군 - 남재
- 익평부원군 - 이석근
- 인성부원군 - 정철
- 창산부원군 - 성희안
- 창녕부원군 - 성석린
- 철성부원군 - 이원
- 청성부원군 - 심덕부 (위화도 회군공신 1등, 영삼사사, 문하부 좌정승 역임)
- 청성부원군 - 정탁
- 청성부원군 - 김석주
- 청원부원군 - 심기원 (정사공신 1등, 좌의정 역임)
- 청평부원군 - 이백강
- 청풍부원군 - 김육
- 청풍부원군 - 김우명
- 칠원부원군 - 윤자당
- 파천부원군 - 윤사흔
- 평성부원군 - 박원종
- 평양부원군 - 조준
- 평양부원군 - 김승주
- 평양부원군 - 조대림
- 풍성부원군 - 이기
- 풍원부원군 - 조현명
- 하동부원군 - 정인지
- 한성부원군 - 이계전
- 함종부원군 - 어세겸
- 해원부원군 - 윤두수
- 해평부원군 - 정미수
- 화산부원군 - 장사길
사후 추봉편집
- 금성부원군 - 박용 추봉 조선 인종의 장인.
- 남원부원군 - 황희 추봉(아들 황수신의 공에 의함)
- 내산부원군 - 정사 추봉
- 능안부원군 - 구사맹 (인조의 외조부. 좌찬성 역임.)추봉
- 전성부원군 - 이준 추봉(영의정 추증)
- 달천부원군 - 서미성 추봉
- 완산부원군 - 추수경 추봉
- 평원부원군 - 원준량 추봉
- 풍산부원군 - 심응 진봉 (아들 심정이 공신에 책록되어 영의정에 추증되고 부원군으로 진봉됨)
- 풍산부원군 - 류중영 추봉(아들 류성룡의 봉군에 의함, 영의정 추증)
- 청계부원군 - 심우승 추봉 (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어 영의정에 추증되고 부원군에 추봉됨)
- 청릉부원군 - 김좌명 추봉(영의정 추증)
- 청천부원군 - 심엄 추봉 (아들 심명세가 정사공신 1등에 책록되어 영의정에 추증되고 부원군에 추봉됨)
- 청파부원군 - 심전 추봉 (아들 심우승이 공신에 책록되어 영의정에 추증되고 부원군에 추봉됨)
- 연성부원군 - 이정화 추봉(아들 이귀의 공에 의함, 영의정 추증)
- 영풍부원군 - 홍봉한 추봉(사위 사도세자가 왕으로 추존되면서 추봉됨.)
- 완령부원군 - 이경록 추봉(아들 이서의 봉군에 의함)
- 월천부원군 - 이정암 추봉(선무공신 2등으로 좌의정 추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