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대한민국 경기도의 도시
(화성군에서 넘어옴)

화성시(華城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서남부에 있는 이다. 동북쪽으로 수원시, 동쪽으로 용인시, 남쪽으로는 오산시·평택시, 북쪽으로 안산시와 접하고, 서북쪽으로 시화호를 사이에 두고 시흥시와 접한다. 서쪽으로는 경기만서해가 있다. 경기남부에서 가장 면적이 큰 도시이다.[1]

화성시
화성시청
화성시청
화성시의 위치
화성시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4, 9, 16
일반구0
법정동25
청사 소재지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시청로 159
단체장정명근(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송옥주(더불어민주당)
: 이준석(개혁신당)
: 권칠승(더불어민주당)
: 전용기(더불어민주당)
지리
면적693.9km2
인구932,626명 (2023년 7월 31일 현재년)
상징
나무소나무
목백일홍
도요새
지역 부호
웹사이트화성시

남양읍을 중심으로 한 화성시 서부의 본래 지명은 남양군(南陽郡)이었고, 서신면에는 백제 및 신라의 대외 무역항이었던 당항성이 있었다. 1914년남양군수원군에 병합되었고, 1949년 8월 14일에 수원읍이 수원부로 분리·승격되면서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군의 명칭은 화성(華城)에서 따왔다. 2001년 3월 21일에 시로 승격되었다. 시청 소재지는 남양읍이고, 4읍 9면 15행정동을 관할하는 도농복합시이다.

지명 유래

편집

'화성(華城)'이라는 이름은 조선 정조가 '화봉삼축(華封三祝)' 고사를 인용해 "사도세자능침인 '화산(花山)'의 '花(화)'자와 '華(화)'자는 뜻과 음이 통하여 '화성'으로 한다"고 하여 지은 것이다.

역사

편집
개편 전·후
개편 전 개편 후
화성군 일왕면 상광교리·하광교리·조원리·송죽리·파장리·정자리·이목리·율전리·천천리·탑리·구운리 수원시 상광교동·하광교동·조원동·송죽동·파장동·정자동·이목동·율전동·천천동·탑동·구운동
·원천동·매탄동·권선동
·곡반정동·대황교동·장지동·고색동·평동·오목천동
태장면 원천리·매탄리·권선리
안룡면 곡반정리·대황교리·장지리·고색리·평리·오목천리
일왕면 이리·삼리·고천리·왕곡리·오전리·학의리·내손리·청계리·포일리 시흥군 의왕면
태장면 영통리·신리·망포리·반월리·능리·기산리·병점리·진안리 태안면
안룡면 기안리·배양리·황계리·반정리·송산리·안녕리
개편 전·후
개편 전 개편 후
비봉면 상기리 봉담면 상기리
반월면 월암리·초평리 시흥군 의왕읍 월암리·초평리
개편 전·후
개편 전 개편 후
화성군 반월면 일리·이리·사리·본오리·팔곡2리 및 둔대리 일부 안산시 일동·이동·사동·본오동·팔곡2동
  • 1987년 1월 1일: 서신면 칠곡리가 송산면에 편입되고, 팔탄면 지월리 일부가 향남면에 편입되어 장짐리가, 동탄면 금곡리 일부가 오산읍에 편입되어 은계리가 각각 신설되었다. 매송면 금곡리, 호매실리가 수원시에, 양감면 고렴리가 평택군에 각각 이관되었다.[9]
개편 전·후
개편 전 개편 후
서신면 칠곡리 송산면 칠곡리
팔탄면 지월리 일부 향남면 장짐리
동탄면 금곡리 일부 오산읍 은계리
매송면 금곡리·호매실리 수원시 금곡동·호매실동
양감면 고렴리 평택군 청북면 고렴리
  • 1989년 1월 1일: 오산읍이 오산시로 승격하여 화성군에서 분리되었다.[10] (1읍 15면)
  • 1994년 12월 26일: 태안읍 영통리·신리 일부·망포리 일부, 반월면 입북리·당수리가 수원시에, 반월면 건건리·사사리·팔곡1리가 안산시에, 반월면 둔대리·대야미리·속달리·도마교리가 군포시에 각각 이관되었다. 이로써 반월면은 폐지되었다.[11] (1읍 14면)
개편 전·후
개편 전 개편 후
화성군 반월면 입북리·당수리 수원시 권선구 입북동·당수동
화성군 반월면 건건리·사사리·팔곡1리 일원 안산시 건건동·사사동·팔곡1동
화성군 반월면 둔대리·대야미리·속달리·도마교리 군포시 둔대동·대야미동·속달동·도마교동
개편 전·후
개편 전 개편 후
태안읍 진안리·능리·기산리·반정리 진안동 (법정동:진안동·능동·기산동·반정동)
태안읍 병점리 일부 병점1동 (법정동:병점동 일부)
태안읍 병점리 일부 병점2동 (법정동:병점동 일부)
태안읍 반월리 반월동 (법정동:반월동)
태안읍 기안리·배양리 기배동 (법정동:기안동·배양동)
태안읍 황계리·송산리·안녕리 화산동 (법정동:황계동·송산동·안녕동)
개편 전·후
개편 전 개편 후
향남면 향남읍
동탄면 반송리·석우리, 진안동 중 능동 동탄동 (법정동:반송동·석우동·능동)
  • 2008년 3월 3일: 동탄동이 동탄1동, 동탄2동으로 분리되었다.[20] (3읍 10면 9동)
  • 2009년 6월 8일: 동탄3동이 동탄1동에서 분동하였다.[21] (3읍 10면 10동)
  • 2010년 9월 27일: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50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14년 10월 20일: 남양동이 남양읍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남양동 관할 법정동 역시 법정리로 환원되었다.[22] (4읍 10면 9동)
  • 2015년 1월 1일: 동탄면 영천리·청계리·오산리에 중리·목리·산척리·방교리의 각 일부를 편입하여 동탄4동(법정동:영천동·청계동·오산동)이 설치되었다. (4읍 10면 10동)
개편 전·후
개편 전 개편 후
동탄면 영천리·청계리·오산리 동탄4동 (법정동:영천동·청계동·오산동)
  • 2016년 1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60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17년 10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안산시를 추월하였다.
  • 2018년 1월 1일: 송산그린시티 동측 지구에 새솔동을 설치하고, 동탄면·동탄4동을 동탄4동·동탄5동·동탄6동으로 개편하였다. (4읍 9면 13동)
개편 전·후
개편 전 개편 후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4동 청계동 영천동 오산동
동탄면 중동 신동, 목동, 산척동, 장지동, 송동, 방교동, 금곡동
  • 2018년 2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70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19년 7월 1일: 동탄7동이 동탄6동에서 분동하였다. (4읍 9면 14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법정구역
개편 전 개편 후
동탄6동 동탄6동 오산동, 장지동, 방교동, 금곡동
동탄7동 신동, 목동, 산척동, 송동
  • 2019년 9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80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19년 10월 21일: 동탄8동이 동탄6동에서 분동하였다. (4읍 9면 15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법정구역
개편 전 개편 후
동탄6동 동탄6동 오산동, 방교동, 금곡동
동탄8동 장지동
  • 2020년 3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부천시를 추월하였다.
  • 2020년 7월 24일: 경기도 수원시와 화성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라 6월 16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하고 6월 23일 공포함. 경계조정령이 시행되어 수원시 영통구 신동, 망포동 일부와 화성시 반정동 일부를 교환하였다.[23]
  • 2020년 9월 12일: 수인선(수원~한대앞)이 재개통되었다.
  • 2022년 9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9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3년 4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성남시를 추월하였다.
  • 2023년 7월 1일: 동탄9동이 동탄7동에서 분동하였다. (4읍 9면 16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법정구역
개편 전 개편 후
동탄7동 동탄7동 산척동, 송동
동탄9동 신동, 목동

지리

편집

화성시는 크게 동부(병점, 동탄, 봉담읍, 정남면)와 서부로 나눌 수 있는데, 서부는 다시 남양읍을 중심으로 한 북쪽의 1읍·5면·1동과 향남읍을 중심으로 한 남쪽의 2읍·3면으로 나눌 수 있다.[24]

지형

편집

화성시는 광주산맥차령산맥 사이에 위치하여 동북쪽으로 비교적 산세가 깊은 산지를 형성하고, 중앙은 구릉지대이며, 서쪽은 평야지대를 이루면서 서해와 접하고 있다. 서해안으로 남양 반도조암 반도가 돌출되어 있고, 화성시 중심부를 남류하는 황구지천발안천을 따라 비옥한 평야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해안은 북쪽으로 군자만, 남쪽으로 남양만을 끼고 있으며, 해안선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다.

화성시는 해발 50m 미만 지역이 총면적의 76.1%이고, 50m∼100m 지역은 17.9%, 100m∼200m 지역은 5.5%, 200m 이상 지역은 화성시 총면적의 0.5%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비교적 완만한 구릉지를 형성하고 있다. 경사도는 5% 미만이 총면적의 52.3%, 5%∼15% 지역은 화성시 총면적의 15.9%, 15%∼25% 지역은 화성시 총면적의 13.9%로 대부분이 완만하다.

해발 200m 이상 지역과 경사 25% 이상 지역은 봉담읍비봉면, 팔탄면의 경계와 동탄면의 동쪽에 분포하고, 해발 50m 이하 지역과 경사 5% 이하 지역은 송산면, 서신면, 우정읍, 장안면 등 서해안과 시화호 주변에 분포하고 있다.

화성시의 지형 구성비
구분 면적(km2) 구성비(%)
해발 50m 미만 523.54 76.1
50 ~ 70m 71.64 10.4
70 ~ 100m 51.39 7.5
100~200m 37.52 5.5
200m 이상 3.44 0.5
687.54 100.0
경사도 5% 미만 359.09 52.2
5 ~ 15% 109.61 15.9
15 ~ 25% 95.52 13.9
25% 이상 123.32 17.9
687.54 100.0

기후

편집

한반도의 중서부에 속하는 화성시는 온난한 남부지방으로부터 대륙성의 북부지방으로 옮아 가는 전이지대에 속하고 있으며 특히 본시는 수심이 얕고 내해성인 서해에 연하고 있어 지형상으로도 저평한 평야지대에 위치하고 있어서 겨울 기온이 연안을 따라 낮은 특색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시는 온난 습윤 기후로부터 냉대 동계 소우 기후구로 옮아가는 전이지대에 위치하여 한국의 소기후 구분상 중부서안형에 속하고 있다.

해안선·도서

편집

화성시의 해안선은 경기도 전체 해안선의 절반인 152 km에 달한다. 섬은 총 23개로 유인도(有人島)는 3개(제부도, 입파도, 국화도)이며, 나머지는 무인도이다. 유인도 3개 섬에는 278세대, 630명의 주민이 거주한다.(2001년 조사)

조석·조류

편집

화성시 해안의 조석은 인천광역시 정도에는 미치지 않으나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류에 의한 수괴 변화가 크다. 경기만아산만을 유입하는 조류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대조기(약 15일마다 일어나는 조차가 큰 조석), 소조기(조차가 작은 조석), 밀물 및 썰물때 속도 변화가 크다. 밀물때보다 소조기에 유속이 빠르고 연안에 유입된 물질의 확산이 빨리 일어난다.

영흥도선재도 사이의 소조기 썰물시 최대유속은 127cm/s, 밀물때 최대유속은 9cm/s이며, 대조기 썰물의 최대유속은 180cm/s, 밀물의 최대유속은 166cm/s로 대체로 썰물때 유속이 빠르다.

지질·토양

편집

한국지질자원연구소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화성시의 지질은 변성암선캄브리아계편암편마암류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화강암과 제4기 퇴적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선캄브리아계의 지질로 토층의 발달이 탁월하며 두껍게 나타난다.

남서부 해안지대와 도서들은 편암, 북서부는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부와 동부지역에는 반상변정질 편마암과 호상편마암이 나타난다.

남양읍 남부에는 중생대 쥬라기에 생성된 것으로 보이는 대보 화강암이 나타나며, 황구지천, 발안천 및 만을 이루는 지역에는 제4기에 퇴적된 충적층이 형성되어 있다.

행정 구역

편집

화성시는 4 9 15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구는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815,396명, 327,797 가구다.[25] 화성시는 행정구를 설치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고 있으나 설치하지 않고, 동부 지역에 동부출장소(병점 지역 6개 동과 정남면을 관할)와 동탄출장소(동탄 지역 9개 동 관할)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 한자 면적[26]
(km2)
인구 세대 행정 지도
봉담읍 峰潭邑 42.75 78,829 30,776  
우정읍 雨汀邑 59.72 17,427 8,503
향남읍 鄕南邑 50.01 83,970 36,999
남양읍 南陽邑 67.09 39,574 18,450
매송면 梅松面 27.27 7,334 3,557
비봉면 飛鳳面 38.55 5,829 2,980
마도면 麻道面 31.75 6,947 3,798
송산면 松山面 58.34 10,962 5,394
서신면 西新面 43.27 7,070 3,816
팔탄면 八灘面 50.95 9,895 5,946
장안면 長安面 67.66 10,277 5,448
양감면 楊甘面 31.06 4,031 2,324
정남면 正南面 40.67 11,298 5,927
새솔동 새솔洞 3.4 19,415 6,443
진안동 陳雁洞 6.22 43,977 20,127 시내동지구
병점1동 餠店1洞 1.44 28,224 11,322  
병점2동 餠店2洞 1.05 24,537 8,727
반월동 半月洞 3.96 32,438 10,981
기배동 旗培洞 4.22 13,860 4,869
화산동 花山洞 11.60 23,419 9,787
동탄1동 東灘1洞 5.3 50,639 19,775
동탄2동 東灘2洞 2.2 36,043 11,806
동탄3동 東灘3洞 1.9 41,794 16,656
동탄4동 東灘4洞 4.23 53,531 16,592
동탄5동 東灘5洞 11.40 38,672 15,555
동탄6동 東灘6洞 9.4 30,174 12,847
동탄7동 東灘7洞 14.6 72,522 25,427
동탄8동 東灘8洞 6.54 24,639 9,534
동탄9동 東灘9洞 9.96 38,838 14,111
화성시 華城市 693.93 831,888 335,727

* 인구·세대는 2020년 4월 기준

인구

편집

2011년을 기준으로 화성시의 인구 중 만 15세 미만은 21.9%, 만 65세 이상은 7.9%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2%로, 전국 평균인 72.8%보다 조금 낮다. 유소년 인구부양비는 31.2%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 인구부양비는 11.2%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남자 인구를 여자 인구로 나눈 성비는 106.6%로 남자가 다소 많다.

화성시의 인구는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인데, 이는 서울 등 수도권의 다른 도시로부터 동탄신도시 등으로 인구가 계속해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 화성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27]
연도 총인구 비고
1949년 177,579명     수원읍(1949년 8월 14일 승격) 52,772명 제외 수원군
1955년 192,879명      화성군
1960년 216,024명     
1966년 204,254명   
1970년 189,604명     
1975년 208,171명    
1980년 217,090명     
1985년 225,941명    
1990년 187,370명      감소 원인: 오산시 승격·분리 (1989년 1월 1일)
외국인: 21
1995년 158,590명     감소 원인: 반월면(1994년 12월 26일 폐지) 등 관할구역을 수원시 등에 이관
외국인: 333 (0.2%)
2000년 189,467명      외국인: 3,488 (1.8%)
2005년 288,718명       외국인: 6,594 (2.3%) 화성시
2010년 488,758명       외국인: 14,598 (3.0%)
2015년 608,725명     외국인: 41,327 (6.8%)
2019년 838,635명      외국인: 57,123 (6.8%)

시청

편집

현재 화성시청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에 위치하고 있다.

경제

편집

재정자립도

편집

2022년 기준 화성시의 재정자립도는 58.6%로 경기도 시군 중 2위다.[28] 다양한 제조업 공장들이 화성시에 있기 때문이다.

지역내 총생산

편집

화성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94조 180억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13.0%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6,900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78조 740억원으로 83.04%의 비중으로 차지한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5조 2,550억원으로 16.23%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사업서비스업(2.74%)과 건설업(2.31%), 도소매업(1.96%)과 부동산업 및 임대업(1.60%)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9]

산업별 종사자 현황

편집

2014년 화성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362,267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162명으로 비중이 낮다.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91,738명으로 52.9%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70,367명으로 47.0%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높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8.7%), 사업서비스업(8.6%)과 숙박 및 음식점업(6.0%), 교육서비스업(4.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0]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편집

화성시의 2021년 기준 상주인구는 878,879명이고 2015년 기준 주간인구는 573,502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17로 낮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13,526명, 유출인구는 106,864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 21,904명, 유출인구는 10,547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06,662명 더 많은데, 이는 산업시설이 많이 이전해 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31]

제조업

편집

연구소

편집

상업

편집

백화점·대형아울렛

편집

대형마트

편집

영화관

편집

교육 기관

편집
  
  
  • 화성시그린농업기술대학
  
  
  • 특수학교
    • 해원학교

도서관

편집

농어업

편집

관내 어항

편집

교통

편집

철도

편집

과거 수원군(화성군) 시절에는 관내 철도역이 많았으나, 수원시오산시가 차례로 분리되고, 반월면안산시군포시의왕시로 분할 편입되어 1995년 수인선 영업이 중단된 후 현재의 상황에서는 경부선이 화성시의 동부에 조금 남아 연결되는 상황이다. 수인선수원 ~ 한대앞 구간이 2020년 말에 개통되어 화성시의 북부 지역에도 다시 철도 운행이 재개되었다.

도로

편집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버스

편집


선박

편집

충남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 - 우정읍 국화리 국화항 간 선박이 운행중이다.

출신 인물

편집

문화

편집
 
융건릉

오른쪽은 사도세자혜경궁 홍씨를 합장한 융릉, 왼쪽은 제22대 임금 정조효의왕후 김씨의 합장릉인 건릉이다.

사적 217호인 당성은 계곡을 둘러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사찰로 국보 제120호인 용주사 범종이 있다.

  • 우리꽃식물원[32]

대지가 약 109,000m2, 사계절관 2,900m2 규모의 식물원이며 1,200여 종의 한국 식물이 식재되어 있다. 외부 들꽃정원과 등고산, 유리온실인 사계절관 등이 있다.

자연환경

편집

화성 8경

편집
  • 융건 백설
  • 용주 범종
  • 제부 모세
  • 궁평 낙조
  • 남양 황라
  • 입파 홍암
  • 제암리 3·1운동순국기념관: 1919년 4월 15일 제암리에서 3.1 운동에 이은 만세운동을 벌였는데, 이후 일본 헌병 30여 명이 제암교회에 주민을 감금시킨 후 무차별 총격을 가하고 교회와 가옥, 그리고 시체까지 불태우는 사건을 저질렀다. 이는 곧 제암리 학살이며 이후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기 위해 불탄 예배당에 순국기념탑을 세우고, 국내외 관련 자료를 모아놓은 전시관과 교육관 등을 운영하고 있다.
  • 남양성모성지
  • 코리요

스포츠

편집
리그명 팀명 창단연도 홈 경기장
K3리그 화성 FC 2013년 화성종합경기타운
V리그 화성 IBK 기업은행 알토스 2011년 화성실내체육관
한국바둑리그 화성시코리요 2014년

자매 도시

편집
도시 이름 국가 기타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대한민국
경상남도 합천군   대한민국
전라남도 완도군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남구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한민국
장쑤성 쑤저우시 우장구   중화인민공화국
산동성 웨이하이시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싱타이시   중화인민공화국
버너비   캐나다
푸토성   베트남
다낭시   베트남
토런스   미국

갤러리

편집

교류

편집

사건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rchived copy”. 2004년 1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4년 12월 30일에 확인함. 
  2. 대통령령 제161호 부의설치및군의명칭·관할구역변경의건(1949년 8월 13일)
  3. 경기도령 제18조. 남양동 연혁 Archived 2015년 9월 24일 - 웨이백 머신 남양동 주민센터 홈페이지
  4. 법률 제539호 읍설치에관한법률(1960년 1월 1일)
  5.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1962년 11월 21일)
  6.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1983년 1월 10일) 제1조 제10항·제11항·제23항·제24항
  7.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1985년 9월 26일)
  8.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1985년 12월 28일)
  9. 대통령령 제12007호(1986년 12월 23일)
  10. 법률 제4050호 오산시군포시의왕시시흥시하남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1988년 12월 31일)
  11. 대통령령 제14434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1994년 12월 22일) 제5조 제3항
  12. 대통령령 제14629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1995년 4월 20일)
  13. 화성군 조례 제1698호(1998년 3월 25일)
  14. 화성군 조례 제1848호(2000년 11월 1일)
  15. 법률 제6280호 경기도화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2000년 12월 20일)
  16. 화성시 조례 제31호 및 제35호(2001년 3월 21일)
  17. 화성시 조례 제235호(2003년 6월 4일)
  18. 화성시 조례 제353호(2005년 12월 2일)
  19. 화성시 조례 제430호(2006년 12월 29일)
  20. 화성시 조례 제519호
  21. 화성시 조례 제603호
  22. 화성시 남양동 '읍'으로 전환…전국 첫 사례 뉴시스, 2014.7.9.
  23. 경기도 수원시와 화성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30794호 (2020년 6월 23일)
  24. 화성시, 3도심체로 도시공간구조 개편 경기G뉴스, 2012.10.9.
  25.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2020년 3월 4일 확인.
  26. 일반현황 - 화성시 면적 화성시 홈페이지, 2020년 3월 4일 확인.
  27.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28. “경기지역 24개 시·군 재정자립도 ↓···안산·과천 하락폭 커”. 2018년 4월 15일. 
  29.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0. 경기도 사업체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1.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2. “홈페이지”. 2018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화성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