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한서
이름 | 저자 | 권수 |
---|---|---|
사기 | 전한·사마천 | 130 |
한서 | 후한·반고 | 100 |
후한서 | 유송·범엽 | 120 |
삼국지 | 서진·진수 | 65 |
진서(晉書) | 당·방현령 등 | 130 |
송서 | 양·심약 | 100 |
남제서 | 양·소자현 | 59 |
양서 | 당·요사렴 | 56 |
진서(陳書) | 당·요사렴 | 36 |
위서 | 북제·위수 | 114 |
북제서 | 당·이백약 | 50 |
주서 | 당·영호덕분 등 | 50 |
수서 | 당·위징 등 | 85 |
남사 | 당·이연수 | 80 |
북사 | 당·이연수 | 100 |
구당서 | 후진·유후 등 | 200 |
신당서 | 송·구양수 등 | 225 |
구오대사 | 송·설거정 등 | 150 |
신오대사 | 송·구양수 | 74 |
송사 | 원·토크토 등 | 496 |
요사 | 원·토크토 등 | 116 |
금사 | 원·토크토 등 | 135 |
원사 | 명·송렴 등 | 210 |
명사 | 청·장정옥 등 | 332 |
신원사* | 중화민국·커샤오민 등 | 257 |
청사고* | 중화민국·자오얼쑨 등 | 536 |
《후한서》(後漢書)는 중국 이십사사 중의 하나로 후한의 역사를 남북조 시대 송나라의 범엽(398년 ~ 445년)이 정리한 책이다.
다루는 시대는 25년(건무 원년)부터 220년(건안 25년)까지의 역사이며 본기 10권, 열전 80권, 지 3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범엽이 대역죄에 연루되어 죽는 바람에 표와 지는 없다. 현재 남아 있는 지 30권은 사마표 《속한서》(續漢書)에 유소가 주석을 단 것을 덧붙인 것이다. 그래서 이 부분은 《속한지》(續漢志)라고 따로 부르기도 한다.
《후한서》 〈동이열전〉(東夷列傳)에는 동이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고구려, 부여와 함께 일본이 동이로 분류되어 있다.
이외에도 사승·설영·화교·사침·원산송·장번(張璠)·사마표 등이 지은 《후한서》도 있었으나, 모두 멸실되었다.
구성편집
본기(本紀)편집
황제편집
### | 제목 | 황제 | 시기(음력) | 비고 | |
---|---|---|---|---|---|
권1上 | 본기1 上 | 광무제(光武帝) 上 | 광무제 수(光武帝 秀) | 23년 1월 ~ 29년 12월 (현한 경시(更始) 원년 ~ 건무(建武) 5년) |
|
권1下 | 본기1 下 | 광무제(光武帝) 下 | 30년 1월 ~ 57년 2월 (건무(建武) 6년 ~ 건무중원(建武中元) 2년) | ||
권2 | 본기2 | 명제(明帝) | 효명제 장(孝明帝 莊) | 57년 2월 ~ 75년 8월 (건무중원(建武中元) 2년 ~ 영평(永平) 18년) |
|
권3 | 본기3 | 장제(章帝) | 효장제 달(孝章帝 炟) | 75년 8월 ~ 88년 2월 (영평(永平) 18년 ~ 장화(章和) 2년) |
|
권4 | 본기4 | 화제(和帝) 상제(殤帝) |
효화제 조(孝和帝 肇) 효상제 융(孝殤帝 隆) |
88년 2월 ~ 106년 8월 (장화(章和) 2년 ~ 연평(延平) 원년) |
|
권5 | 본기5 | 안제(安帝) | 효안제 호(孝安帝 祜) 북향후 의(北鄕侯 懿) |
106년 8월 ~ 125년 10월 (연평(延平) 원년 ~ 연광(延光) 4년) |
|
권6 | 본기6 | 순제(順帝) 충제(沖帝) 질제(質帝) |
효순제 보(孝順帝 保) 효충제 병(孝沖帝 炳) 효질제 찬(孝質帝 纘) |
125년 11월 ~ 146년 윤 6월 (연광(延光) 4년 ~ 본초(本初) 원년) |
|
권7 | 본기7 | 환제(桓帝) | 효환제 지(孝桓帝 志) | 146년 윤 6월 ~ 167년 12월 (본초(本初) 원년 ~ 영강(永康) 원년) |
|
권8 | 본기8 | 영제(靈帝) | 효령제 굉(孝靈帝 宏) 홍농회왕 변(弘農懷王 辯) |
168년 1월 ~ 189년 9월 (건녕(建寧) 원년 ~ 중평(中平) 6년) |
|
권9 | 본기9 | 헌제(獻帝) | 효헌제 협(孝獻帝 協) | 189년 9월 ~ 220년 10월 (중평(中平) 6년 ~ 연강(延康) 원년) |
후비편집
### | 제목 | 목록 | 비고 | |
---|---|---|---|---|
권10上 | 본기10 上 | 황후기(皇后紀) 上 | 광무곽황후(光武郭皇后),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가귀인(賈貴人), 장덕두황후(章德竇皇后), 화제음황후(和帝陰皇后), 화희등황후(和熹鄧皇后) | |
권10下 | 본기10 下 | 황후기(皇后紀) 下 | 안사염황후(安思閻皇后), 순열양황후(順烈梁皇后), 우미인(虞美人), 진부인(陳夫人), 효숭언황후(孝崇匽皇后), 의헌양황후(懿獻梁皇后), 환제등황후(桓帝鄧皇后), 환사등황후(桓思竇皇后), 효인동황후(孝仁董皇后), 영제송황후(靈帝宋皇后), 영사하황후(靈思何皇后), 헌제복황후(獻帝伏皇后), 헌목조황후(獻穆曹皇后), | |
공주 부록(公主附錄) | 세조 5녀(世祖五女), 현종 11녀(顯宗十一女), 숙종 3녀(肅宗三女), 화제 4녀(和帝四女), 순제 3녀(順帝三女), 환제 3녀(桓帝三女), 영제 1녀(靈帝一女) |
열전(列傳)편집
열전
### | 부제 | 목록 | 비고 | |
---|---|---|---|---|
권11 | 열전1 | 유현유분자열전 (劉玄劉盆子列傳) |
경시제 유현(更始帝 劉玄), 유분자(劉盆子) | |
권12 | 열전2 | 왕유장이팽노열전 (王劉張李彭盧列傳) |
왕창(王昌), 유영(劉永), 방맹(龐萌), 장보(張步), 왕굉(王閎), 이헌(李憲), 팽총(彭寵), 노방(盧芳) | |
권13 | 열전3 | 외효공손술열전 (隗囂公孫述列傳) |
외효(隗囂), 공손술(公孫述) | |
권14 | 열전4 | 종실4왕3후열전 (宗室四王三侯列傳) |
제무왕 인(齊武王 縯), 북해정왕 흥(北海靖王 興), 조효왕 량(趙孝王 良), 성양공왕 지(城陽恭王 祉), 사수왕 흡(泗水王 歙), 안성효후 사(安成孝侯 賜), 무성효후 순(成武孝侯 順), 순양회후 가(順陽懷侯 嘉) | |
권15 | 열전5 | 이왕등내열전 (李王鄧來列傳) |
이통(李通), 왕상(王常), 등신(鄧晨), 내흡(來歙), 내력(來歷) | |
권16 | 열전6 | 등구열전(鄧寇列傳) | 등우(鄧禹), 구순(寇恂) | |
권17 | 열전7 | 풍잠가열전 (馮岑賈列傳) |
풍이(馮異), 잠팽(岑彭), 가복(賈復) | |
권18 | 열전8 | 오갑진장열전 (吳蓋陳臧列傳) |
오한(吳漢), 갑연(蓋延), 진준(陳俊), 장궁(臧宮) | |
권19 | 열전9 | 경감열전(耿弇列傳) | 경감(耿弇) | |
권20 | 열전10 | 요기왕패제준열전 (銚期王霸祭遵列傳) |
요기(銚期), 왕패(王霸), 제준(祭遵) | |
권21 | 열전11 | 임이만비유경열전 (任李萬邳劉耿列傳) |
임광(任光), 이충(李忠), 만수(萬脩), 비동(邳彤), 유식(劉植), 경순(耿純) | |
권22 | 열전12 | 주경왕두마유부견마열전 (朱景王杜馬劉傅堅馬列傳) |
주우(朱祐), 경단(景丹), 왕량(王梁), 두무(杜茂), 마성(馬成), 유륭(劉隆), 부준(傅俊), 견담(堅鐔), 마무(馬武) | |
권23 | 열전13 | 두융열전(竇融列傳) | 두융(竇融), 두고(竇固), 두헌(竇憲), 두장(竇章) | |
권24 | 열전14 | 마원열전(馬援列傳) | 마원(馬援) | |
권25 | 열전15 | 탁노위유열전 (卓魯魏劉列傳) |
탁무(卓茂), 노공(魯恭), 위패(魏霸), 유관(劉寬) | |
권26 | 열전16 | 복후송채풍조모위열전 (伏侯宋蔡馮趙牟韋列傳) |
복담(伏湛), 후패(侯霸), 송홍(宋弘), 채무(蔡茂), 곽가(郭賀), 풍근(馮勤), 조희(趙憙), 모융(牟融), 위표(韋彪) | |
권27 | 열전17 | 선장2왕두곽오승정조열전 (宣張二王杜郭吳承鄭趙列傳) |
선병(宣秉), 장담(張湛), 왕단(王丹), 왕량(王良), 두림(杜林), 곽단(郭丹), 오량(吳良), 승궁(承宮), 정균(鄭均), 조전(趙典) | |
권28(上) | 열전18(上) | 환담풍연열전 (桓譚馮衍列傳) |
환담(桓譚), 풍연(馮衍) | |
권28(下) | 열전18(下) | 풍연전(馮衍傳) | 풍연(馮衍) | |
권29 | 열전19 | 신도강포영질운열전 (申屠剛鮑永郅惲列傳) |
신도강(申屠剛), 포영(鮑永), 질운(郅惲) | |
권30(上) | 열전20(上) | 소경양후열전 (蘇竟楊厚列傳) |
소경(蘇竟), 양후(楊厚) | |
권30(下) | 열전20(下) | 낭의양해열전 (郞顗襄楷列傳) |
낭의(郞顗), 양해(襄楷) | |
권31 | 열전21 | 곽두공장염왕소양가육열전 (郭杜孔張廉王蘇羊賈陸列傳) |
곽급(郭伋), 두시(杜詩), 공분(孔奮), 장감(張堪), 염범(廉范), 왕당(王堂), 소장(蘇章), 양속(羊續), 가종(賈琮), 육강(陸康) | |
권32 | 열전22 | 번굉음식열전 (樊宏陰識列傳) |
번굉(樊宏), 음식(陰識) | |
권33 | 열전23 | 주풍우정주열전 (朱馮虞鄭周列傳) |
주부(朱浮), 풍방(馮魴), 우연(虞延), 정홍(鄭弘), 주장(周章) | |
권34 | 열전24 | 양통열전(梁統列傳) | 양통(梁統) | |
권35 | 열전25 | 장조정열전 (張曹鄭列傳) |
장순(張純), 장분(張奮) , 조포(曹褒), 정현(鄭玄) | |
권36 | 열전26 | 정범진가장열전 (鄭范陳賈張列傳) |
정흥(鄭興), 정중(鄭眾), 범승(范升), 진원(陳元), 가규(賈逵), 장패(張霸), 장해(張楷), 장릉(張陵), 장현(張玄) | |
권37 | 열전27 | 환영정홍열전 (桓榮丁鴻列傳) |
환영(桓榮) , 정홍(丁鴻) | |
권38 | 열전28 | 장법등풍탁양열전 (張法滕馮度楊列傳) |
장종(張宗), 법웅(法雄), 등무(滕撫), 풍곤(馮緄), 도상(度尙), 양선(楊琁) | |
권39 | 열전29 | 유조순우강유주조열전 (劉趙淳于江劉周趙列傳) |
유평(劉平), 조효(趙孝), 순우공(淳于恭), 강혁(江革), 유반(劉般), 주반(周磐), 조자(趙咨) | |
권40(上) | 열전30(上) | 반표열전(班彪列傳) 上 | 반표(班彪) | |
권40(下) | 열전30(下) | 반표열전(班彪列傳) 下 | 반표(班彪) | |
권41 | 열전31 | 제오종리송한열전 (第五鍾離宋寒列傳) |
제오륜(第五倫), 종리의(鍾離意), 송균(宋均), 한랑(寒朗) | |
권42 | 열전32 | 광무10왕열전 (光武十王列傳) |
동해공왕 강(東海恭王 彊), 패헌왕 보(沛獻王 輔), 제남안왕 강(濟南安王 康), 부릉질왕 연(阜陵質王 延), 중산간왕 언(中山簡王 焉), 초왕 영(楚王 英), 동평헌왕 창(東平憲王 蒼), 광릉사왕 형(廣陵思王 荊), 임회회공 형(臨淮懷公 衡), 낭야효왕 경(琅邪孝王 京) | |
권43 | 열전33 | 주악하열전 (朱樂何列傳) |
주휘(朱暉), 주목(朱穆) 악회(樂恢), 하창(何敞) | |
권44 | 열전34 | 등장서장호열전 (鄧張徐張胡列傳) |
등표(鄧彪), 장우(張禹), 서방(徐防), 장민(張敏), 호광(胡廣) | |
권45 | 열전35 | 원장한주열전 (袁張韓周列傳) |
원안(袁安), 원경(袁京), 원창(袁敞), 장포(張酺), 한릉(韓棱), 주영(周榮) | |
권46 | 열전36 | 곽진열전(郭陳列傳) | 곽궁(郭躬), 진총(陳寵) | |
권47 | 열전37 | 반양열전(班梁列傳) | 반초(班超), 양근(梁慬) | |
권48 | 열전38 | 양이적응곽원서열전 (楊李翟應霍爰徐列傳) |
양종(楊終), 이법(李法), 적포(翟酺), 응봉(應奉), 응초(應劭), 곽서(霍諝), 원연(爰延), 서구(徐璆) | |
권49 | 열전39 | 왕충왕부중장통열전 (王充王符仲長統列傳) |
왕충(王充), 왕부(王符), 중장통(仲長統) | |
권50 | 열전40 | 효명8왕열전 (孝明八王列傳) |
천승애왕 건(千乘哀王 建), 진경왕 선(陳敬王 羨), 팽성정왕 공(彭城靖王 恭), 낙성정왕 당(樂成靖王 黨), 하비혜왕 연(下邳惠王 衍), 양절왕 창(梁節王 暢), 회양경왕 병(淮陽頃王 昞), 제음도왕 장(濟陰悼王 長) |
|
권51 | 열전41 | 이진방진교열전 (李陳龐陳橋列傳) |
이순(李恂), 진선(陳禪), 방참(龐参), 진귀(陳龜), 교현(橋玄) | |
권52 | 열전42 | 최인열전(崔駰列傳) | 최인(崔駰), 최원(崔瑗), 최식(崔寔), 최열(崔烈) | |
권53 | 열전43 | 주황서강신도열전 (周黃徐姜申屠列傳) |
주섭(周燮), 황헌(黃憲), 서치(徐穉), 강굉(姜肱), 신도반(申屠蟠) | |
권54 | 열전44 | 양진열전(楊震列傳) | 양진(楊震) | |
권55 | 열전45 | 장제8왕열전 (章帝八王列傳) |
천승정왕 항(千乘貞王 伉), 평춘도왕 전(平春悼王 全), 청하효왕 경(淸河孝王 慶), 제북혜왕 수(濟北惠王 壽), 하간효왕 개(河間孝王 開), 성양회왕 숙(城陽懷王 淑), 광종상왕 만세(廣宗殤王 萬歲), 평원회왕 승(平原懷王 勝) |
|
권56 | 열전46 | 장왕충진열전 (張王种陳列傳) |
장호(張晧), 왕공(王龔), 종고(種暠), 진구(陳球) | |
권57 | 열전47 | 두난유이유사열전 (杜欒劉李劉謝列傳) |
두근(杜根), 난파(欒巴), 유도(劉陶), 이운(李雲), 유유(劉瑜), 사필(謝弼) | |
권58 | 열전48 | 우부갑장열전 (虞傅蓋臧列傳) |
우후(虞詡), 부섭(傅燮), 갑훈(蓋勳), 장홍(臧洪) | |
권59 | 열전49 | 장형열전(張衡列傳) | 장형(張衡) | |
권60(上) | 열전50(上) | 마융열전(馬融列傳) | 마융(馬融) | |
권60(下) | 열전50(下) | 채옹열전(蔡邕列傳) | 채옹(蔡邕) | |
권61 | 열전51 | 좌주황열전 (左周黃列傳) |
좌웅(左雄), 주거(周擧), 주협(周勰), 황경(黃瓊), 황완(黃琬) | |
권62 | 열전52 | 순한종진열전 (荀韓鍾陳列傳) |
순숙(荀淑), 순상(荀爽), 순열(荀悅), 한소(韓韶), 종호(鍾皓), 진식(陳寔), 진기(陳紀) | |
권63 | 열전53 | 이두열전(李杜列傳) | 이고(李固), 두교(杜喬) | |
권64 | 열전54 | 오연사노조열전 (吳延史盧趙列傳) |
오우(吳祐), 연독(延篤), 사필(史弼), 노식(盧植), 조기(趙岐) | |
권65 | 열전55 | 황보장단열전 (皇甫張段列傳) |
황보규(皇甫規), 장환(張奐), 단경(段熲) | |
권66 | 열전56 | 진왕열전(陳王列傳) | 진번(陳蕃), 왕윤(王允) | |
권67 | 열전57 | 당고열전(黨錮列傳) | 유숙(劉淑), 이응(李膺), 두밀(杜密), 유우(劉佑), 위랑(魏朗), 하복(夏馥), 종자(宗慈), 파숙(巴肅), 범방(范滂), 윤훈(尹勳), 채연(蔡衍), 양척(羊陟), 장검(張儉), 잠질(岑晊), 진상(陳翔), 원강(苑康), 단부(檀敷), 유유(劉儒), 가표(賈彪), 하옹(何顒) | |
권68 | 열전58 | 곽부허열전 (郭符許列傳) |
곽태(郭泰), 부융(符融), 허소(許劭) | |
권69 | 열전59 | 두하열전(竇何列傳) | 두무(竇武), 하진(何進) | |
권70 | 열전60 | 정공순열전 (鄭孔荀列傳) |
정태(鄭泰), 공융(孔融), 순욱(荀彧) | |
권71 | 열전61 | 황보숭주준열전 (皇甫嵩朱儁列傳) |
황보숭(皇甫嵩), 주준(朱儁) | |
권72 | 열전62 | 동탁열전(董卓列傳) | 동탁(董卓) | |
권73 | 열전63 | 유우공손찬도겸열전 (劉虞公孫瓚陶謙列傳) |
유우(劉虞), 공손찬(公孫瓚), 도겸(陶謙) | |
권74(上) | 열전64(上) | 원소유표열전 (袁紹劉表列傳) |
원소(袁紹) | |
권74(下) | 열전64(下) | 원소유표열전 (袁紹劉表列傳) |
원담(袁譚), 유표(劉表) | |
권75 | 열전65 | 유언원술여포열전 (劉焉袁術呂布列傳) |
유언(劉焉), 원술(袁術), 여포(呂布) | |
권76 | 열전66 | 순리열전(循吏列傳) | 위삽(衛颯), 임연(任延), 왕경(王景), 진팽(秦彭), 왕환(王渙), 허형(許荊), 맹상(孟嘗), 제오방(第五訪), 유거(劉矩), 유총(劉寵), 구람(仇覽), 동회(童恢), 동익(童翊) | |
권77 | 열전67 | 혹리열전(酷吏列傳) | 동선(董宣), 번엽(樊曄), 이장(李章), 주우(周紆), 황창(黃昌), 양구(陽球), 왕길(王吉) | |
권78 | 열전68 | 환자열전(宦者列傳) | 정중(鄭眾), 채륜(蔡倫), 손정(孫程), 조등(曹騰), 선초(單超), 서황(徐璜), 구원(具瑗), 좌관(左悺), 당형(唐衡), 후람(侯覽), 조절(曹節), 여강(呂強), 장양(張讓), 조충(趙忠) | |
권79(上) | 열전69(上) | 유림열전(儒林列傳) 上 | 유곤(劉昆), 유일(劉軼), 규단(洼丹), 해양홍(觟陽鴻) 임안(任安), 양정(楊政), 장흥(張興), 대빙(戴憑), 위만(魏滿), 손기(孫期), 구양흡(歐陽歙), 조증(曹曾), 모장(牟長), 송등(宋登), 장순(張馴), 윤민(尹敏), 주방(周防), 공희(孔僖), 양륜(楊倫) | |
권79(下) | 열전69(下) | 유림열전(儒林列傳) 下 | 고후(高詡), 포함(包咸), 위응(魏應), 복공(伏恭), 임말(任末), 경란(景鸞), 설한(薛漢), 두무(杜撫), 소순(召馴), 양인(楊仁), 조엽(趙曄), 위굉(衛宏), 동균(董鈞), 정공(丁恭), 주택(周澤), 손감(孫堪), 종흥(鍾興), 견우(甄宇), 누망(樓望), 정증(程曾), 장현(張玄), 이육(李育), 하휴(何休), 복건(服虔), 영용(穎容), 사해(謝該), 허신(許愼), 채현(蔡玄) | |
권80(上) | 열전70(上) | 문원열전(文苑列傳) 上 | 두독(杜篤), 왕륭(王隆), 하공(夏恭), 부의(傅毅), 황향(黃香), 유의(劉毅), 이우(李尤), 소순(蘇順), 유진(劉珍), 갈공(葛龔), 왕일(王逸), 최기(崔琦), 변소(邊韶) | |
권80(下) | 열전70(下) | 문원열전(文苑列傳) 下 | 장승(張升), 조일(趙壹), 유량(劉梁), 유정(劉楨), 변양(邊讓), 역염(酈炎), 후근(侯瑾), 고표(高彪), 장초(張超), 이형(檷衡) | |
권81 | 열전71 | 독행열전(獨行列傳) | 초현(譙玄), 이업(李業), 유무(劉茂), 온서(溫序), 팽수(彭修), 삭로방(索盧放), 주가(周嘉), 범식(范式), 이선(李善), 왕돈(王忳), 장무(張武), 육속(陸續), 대봉(戴封), 이충(李充), 무융(繆肜), 진중(陳重), 뇌의(雷義), 범염(范冉), 대취(戴就), 조포(趙苞), 상허(向栩),양보(諒輔), 유익(劉翊), 왕열(王烈) | |
권82(上) | 열전72(上) | 방술열전(方術列傳) | 임문공(任文公), 곽헌(郭憲), 허양(許楊), 고획(高獲), 왕교(王喬), 사이오(謝夷吾), 양유(楊由), 이남(李南), 이합(李郃), 풍주(馮冑) 단예(段翳), 요부(廖扶), 절상(折像), 번영(樊英) | |
권82(下) | 열전72(下) | 방술열전(方術列傳) | 당단(唐檀), 공사목(公沙穆), 허만(許曼), 조언(趙彦), 번지장(樊志張), 선양(單颺), 한열(韓說), 동부(董扶), 곽옥(郭玉), 화타(華佗), 서등(徐登), 비장방(費長房), 소자훈(薊子訓), 유근(劉根), 좌자(左慈), 허자훈(計子勳), 해노고(解奴辜), 장초(張貂), 왕진(王眞), 학맹절(郝孟節), 유화평(劉和平) | |
권83 | 열전73 | 일민열전(逸民列傳) | 향장(向長), 봉맹(逢萌), 주당(周黨), 왕패(王霸), 엄광(嚴光), 정단(井丹), 양홍(梁鴻), 고봉(高鳳), 대동(臺佟), 한강(韓康), 교신(矯慎), 대량(戴良), 법진(法真), 한음노부(漢陰老父), 진류노부(陳留老父), 방공(龐公) | |
권84 | 열전74 | 열녀전(列女傳) | 환소군(桓少君), 왕패(王霸)의 처, 강시(姜詩)의 처 농씨(龐氏), 조아(趙阿), 반소(班昭), 악양자(樂羊子)의 처, 이목강(李穆姜), 조아(曹娥), 여영(呂榮), 마륜(馬倫), 조아(趙娥), 유장경(劉長卿)의 처 환씨(桓氏),황보규의 아내, 순채(荀采), 조원강(趙媛姜), 숙선웅(叔先雄), 채염(蔡琰) | |
권85 | 열전75 | 동이열전(東夷列傳) | 부여국(夫餘國), 읍루(挹婁), 고구려(高句麗), 동옥저(東沃沮), 삼한(三韓), 왜(倭) | |
권86 | 열전76 | 남만서남이열전 (南蠻西南夷列傳) |
남만(南蠻), 전왕(滇王), 애뢰이(哀牢夷), 공도이(邛都夷), 작도이(莋都夷), 염방위(冉駹夷), 백마저(白馬氐) | |
권87 | 열전77 | 서강전(西羌傳) | 서강(西羌) | |
권88 | 열전78 | 서역전(西域傳) | 구미국(拘彌國), 우전국(于窴國), 서야국(西夜國), 자합국(子合國), 덕약국(德若國), 오익산리국(烏弋山离國), 조지국(條支國), 안식국(安息國), 대진국(大秦國), 대월지국(大月氏國), 고부국(高附國), 천축국(天築國), 동리국(東离國), 율과국(栗戈國), 엄국(嚴國), 엄채국(奄蔡國), 사거국(莎車國), 소륵국(疏勒國), 언기국(焉耆國), 포류국(蒲類國), 이지국(移支國), 동저미국(東且彌國) | |
권89 | 열전79 | 남흉노열전 (南匈奴列傳) |
남흉노(南匈奴) | |
권90 | 열전80 | 오환선비열전 (烏桓鮮卑列傳) |
오환(烏桓), 선비(鮮卑) |
속한지(續漢志)편집
속한지
### | 제목 | 비고 |
---|---|---|
제1 | 율력(律曆) 上 | |
제2 | 율력(律曆) 中 | |
제3 | 율력(律曆) 下 | |
제4 | 예의(禮儀) 上 | |
제5 | 예의(禮儀) 中 | |
제6 | 예의(禮儀) 下 | |
제7 | 제사(祭祀) 上 | |
제8 | 제사(祭祀) 中 | |
제9 | 제사(祭祀) 下 | |
제10 | 천문(天文) 上 | |
제11 | 천문(天文) 中 | |
제12 | 천문(天文) 下 | |
제13 | 오행(五行) 1 | |
제14 | 오행(五行) 2 | |
제15 | 오행(五行) 3 | |
제16 | 오행(五行) 4 | |
제17 | 오행(五行) 5 | |
제18 | 오행(五行) 6 | |
제19 | 군국(郡國) 1 | |
제20 | 군국(郡國) 2 | |
제21 | 군국(郡國) 3 | |
제22 | 군국(郡國) 4 | |
제23 | 군국(郡國) 5 | |
제24 | 백관(百官) 1 | |
제25 | 백관(百官) 2 | |
제26 | 백관(百官) 3 | |
제27 | 백관(百官) 4 | |
제28 | 백관(百官) 5 | |
제29 | 예복(輿服) 上 | |
제30 | 예복(輿服) 下 |
외부 링크편집
- wikisource - 후한서(後漢書)
- wikisource - 삼국지(三國志)
- 삼국지
- 후한기(後漢紀): 원굉(袁宏)이 만든 후한시대의 역사책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