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한민국의 제21대 대통령

이재명(李在明, 1963년 12월 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2025년부터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 직무를 수행 중이다. 본관은 경주이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경기도지사, 2022년부터 2025년까지 더불어민주당 대표이자 계양구 을 국회의원을 지냈다.

이재명
이재명(2025년)
이재명(2025년)
대한민국제21대 대통령
임기 2025년 6월 4일~
전임: 윤석열(제20대)

신상정보
로마자 표기 Lee Jae-myung
출생일 1963년 12월 8일(1963-12-08)(61세)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군 예안면 도촌동
거주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계양구 귤현동
국적 대한민국
본관 경주(慶州)[1]
학력 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정당 더불어민주당
부모 이경희(부), 구효명(모)
배우자 김혜경
자녀 이동호, 이윤호
종교 개신교(예장합동)
서명
이재명
한글 표기: 이재명
한자 표기: 李在明
개정 로마자 표기: I Jaemyeong
매큔-라이샤워 표기: I Chaemyŏng
예일 표기: I Caymyeng
공식 로마자 표기: Lee Jae-myung

1963년 경상북도 안동시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경기도 성남시로 이주하여 공장에서 일하는 것과 학업을 병행하기 시작했다. 이후 검정고시를 통해 중졸·고졸 학력을 취득하여 중앙대학교 법학을 전공하고 1986년 졸업했다.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법조계에 입문해 성남시 일대에서 인권·노동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였고, 이 시기 성남시립병원 설립 운동 도중 공무방해에 관한 죄로 기소되었다.

2005년 정계에 입문해 몇 차례 선거에 도전하여 2010년 성남시장에 당선되었고, 2014년 재선에 성공했다. 2017년 대통령 선거 당시 민주당 경선에 도전했으나 문재인 후보에 밀려 패배했다. 이후 2018년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에 당선되었고, 이후 2021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했다.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국민의힘윤석열 후보에 패배했다.

2024년 1월 이재명 피습 사건으로 목 부위에 흉기를 찔렸고 며칠 만에 회복했다. 같은 해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되자 당일 밤 국회의사당으로 향해 담을 넘어 본회의장에 입장하는 데 성공했고,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에 참여했다. 이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도 참여하여 헌법재판소의 파면 인용을 촉구하는 중심 인물이 되었다. 윤석열의 파면 이후 진행된 6월 3일 2025년 조기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거에 출마했으며, 선거에서 승리해 다음 날 바로 대통령에 취임하여 이재명 정부를 출범시켰다.

생애

성장기

경상북도 안동군 예안면 도촌동에서 아버지 이경희(李敬熙, 1931년~1986년)와 어머니 구효명(具孝明, 1931년~2020년)[2] 사이에서 7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3][4] 법적인 생년월일은 1964년 12월 22일이나, 이는 아버지가 출생신고를 늦게 하여 임의로 쓴 날짜고, 실제 출생일은 음력 10월 22일 또는 23일(양력 1963년 12월 7일 또는 8일)로 추정한다고 한다.[5]

어린 시절에는 부모가 사업이 망해 집안의 환경이 어려웠다고 한다.[6][7] 국민학교 1학년 생활기록부에는 '고집이 세고, 성적은 미미했지만 시원한 성격'이었다고 적혀 있다. 학교가 집에서 5km 정도 되는 거리라서 학교를 잘 안 갔다고 한다.[8][9]

 
이재명(1976년).

1977년 2월 국민학교 졸업과 동시에 경기도 성남시로 이주했고, 중학교 대신 수공업 목걸이 공장에 취업했다. 법적으로 노동을 할 수 있는 나이가 아니어서 여러 가명으로 공장을 전전한 그는 회사에 문제가 생겨 월급을 떼이고 난 뒤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는 '동마고무'라는 곳으로 옮겼고 동마고무에서 손가락을 다치는 첫 산업 재해를 당했다.[9] 동마고무를 나와 야구 글러브 공장인 '대양 실업'에서 일하고 있을 때 프레스에 손목이 눌려 관절이 으스러지는 두 번째 산업 재해를 당했다. 당시 공장은 사고가 빈번해서 주변 사람들은 다들 "이 정도면 다행"이라고 다독였고 그는 병원도 찾지 않고 아픈 팔로 계속 일을 했다. 열여섯 살 무렵 키가 15cm 자라고 손목과 팔의 뼈도 성장하하면서 부러진 뼈가 다른 뼈의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며 팔이 비틀어지고 관절이 으스러진 부분의 성장판이 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재명은 이 질병으로 병역면제인 6급 판정을 받았다.[10][11]

대양실업에 다니던 중 교복을 입고 등교하는 여자아이들 무리와 마주친 이후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검정고시 학원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학원 선생님의 배려로 무료로 단과반을 수강했다. 1978년 고입 검정고시에 합격해 중졸자격을 얻었다.[12]

대양실업에서 당한 산업 재해로 팔의 통증은 계속 심해졌고, 더불어 교복을 입고 등교하는 동네 친구들을 볼 때마다 부모에 대한 반항심도 생겼다고 한다. 방황 끝에 1980년, 두 번의 자살 시도를 하였으나 실패하면서 마음을 다잡았고, 어떻게든 출세를 하려면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1980년 4월 대입 검정고시에 합격해 고졸 자격을 얻었다.[9]

1981년 대입 제도가 개편되면서 학력고사만으로도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학생 과외가 전면 금지되는 대신 장학생 제도가 확대되었고, 정규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도 시험만 잘 보면 장학금을 받고 다닐 기회가 열린 것이다.[13] 1982년 7월 학비 지원에 생활비 20만 원을 받고 중앙대학교 법학과 장학생으로 입학했다.[9]

김혜경과 1990년 연애를 시작하여 1991년에 결혼하였다.[14]

종교는 개신교(장로회)이며, 권사였던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유년시절부터 신앙을 받아들였다. 성남시에서 인권변호사 활동을 하던 2005년부터 분당우리교회에 교인 등록을 하고 출석 중이었다가, 정치활동을 시작하면서 비정기 출석하게 되어 제적교인으로 분류되었고, 다시 출석하면 출석교인이 된다.[15]

변호사 활동

1982년 중앙대학교 법학과에 입학 하여 1986년 졸업했다. 제28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사법연수원에 입학했다. 사법연수원 재학 당시 노무현 변호사의 강연을 들었다. 노무현 변호사의 강연을 듣기 전에는 연수원 수료 이후 전관예우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판사와 또는 검사를 선택하려고 하였으나 노무현의 말에 감명을 받아 변호사의 길을 선택했다고 한다.[16]

1989년 사법연수원 18기를 수료한 후 변호사가 되었다.[10] 같은 18기 출신으로는 김재형 대법관, 민유숙 대법관, 문형배 헌법재판관, 문무일 전 검찰총장, 이석수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 등이 있다.[17]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한 후 인천시광주시의 노동상담소장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에서 활동했다. 1995년에는 성남시민모임 창립 구성원으로 시민운동도 시작했다. 이후 '분당 백궁·정자 지구 용도 변경' 특혜 의혹을 제기하고, '분당 파크뷰 특혜분양 사건'을 파헤쳤다.[9]

성남에 있던 종합병원 두 곳이 폐업하자 이재명은 성남시립병원설립추진위원회 공동대표로 활동하며 성남시민들과 함께 성남 시립병원 설립 운동을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 한나라당이 장악한 시의회는 최초의 주민발의 조례를 단 47초 만에 날치기로 부결해 버렸다. 이에 이재명은 방청하던 시민들과 함께 항의하다가 특수공무집행방해죄로 수배됐다. 이후 이재명은 사회운동만으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정치에 입문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18]

정치 활동

2005년 8월 23일 열린우리당에 입당함과 동시에 성남시장 출마 의사를 밝혔다.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공천을 받아 성남시장에 출마했으나 23.75%의 득표율로 낙선했다.

2007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대통령 후보 비서실 수석부실장으로 활동했다. 2008년 총선에서는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선거구에 공천을 신청했지만 당내 경선에서 조성준 후보에 밀려 공천 탈락하고, 성남시 분당구갑에 전략 공천되었으나, 33.2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또 다시 낙선했다. 낙선 후에는 정세균 민주당 대표의 부름을 받아 민주당 부대변인을 지냈다.

제19·20대 성남시장

 
2015년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이재명의 모습.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출마하여 역대 선거 결과에서 진보 진영이 우세했던 수정구, 중원구에서 각각 58.9%, 57.9%의 지지를 얻고 이전 선거에서 보수 진영이 승리해왔던 분당구에서 44.6%로 약진하며 종합 51.2%를 얻어 43.1%를 얻은 한나라당 황준기 후보를 제치고 성남시장에 당선되었다.

제19대 성남시장 취임사에서 "새로운 성남을 향한 발걸음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힘들면 쉬었다 가더라도 서로의 어깨를 보듬고 한 걸음 한 걸음 웃으며 나아가자. 우리는 할 수 있다. 시민이 주인되는 성남, 시민이 행복한 시정, 기회가 균등한 성남을 함께 만들자"고 강조한 그는 호화 논란을 빚던 전직 시장의 집무실을 북카페로 내놓은 후 한층 좁은 공간으로 시장실을 옮기는 데서부터 출발했다.[19]

시장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는 모라토리엄을 선언했다. 이재명은 재정난으로 LH·국토부 등에 내야 할 판교신도시 조성사업비 5천 200억 원을 단기간에 갚을 수 없다고 주장했고 이는 국토부와의 진실공방으로 이어졌다. 이후에도 그는 여느 단체장과는 차별되는 행보로 눈길을 끌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소통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거리낌 없이 현안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고, 시장실에는 "돈 봉투를 들고 오는 사람들이 많다"는 이유로 CCTV마저 설치했다. 특히 복지정책에 중점을 뒀다. 취임 직후부터 성남시립의료원 강화에 나섰고, 2011년부터 무상교복 정책을 추진했다. 시행이 가로막히면 시의회·정부와 각을 세우거나 소송도 불사하였다.[19]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출마하여 강세 지역인 수정구, 중원구에서 각각 56.4%, 56.7%를 얻을 뿐만 아니라 분당구에서도 이전 선거보다 지지율이 10%가량 상승한 53.8%를 기록하여 종합 55.1%로 44.0%의 새누리당 신영수 후보를 상대로 승리하여 연임에 성공했다.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박근혜 정부를 비판하며 진상 규명을 강력히 요구했고, 2016년, 박근혜 정부가 성남 등 불교부단체에 큰 피해가 예상되는 지방재정개편안을 추진하자 11일간 단식농성을 벌였다.[19]

성남 FC의 구단주를 겸임하며 수원 FC와의 깃발 더비를 탄생시켰다. 실제로 그는 스포츠에도 관심이 많으며 축구와 야구를 좋아한다고 알려졌다.

19대 대선 경선 후보

2016년 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며 전국에서 일어난 촛불집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이미 대통령이 아니다"라는 '사이다 발언'으로 전국민적 관심을 모으며 각종 여론조사에서 문재인에 이은 차기 대선 후보 2위에 등극하였다.[20]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충성도 높은 민주당 지지층의 지지세가 이재명에게 몰리고 있어 최대 20%까지도 지지율이 오를 수 있다고 본다"며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연출했던 극적인 지지율 반전 드라마를 쓸 수도 있다는 기대도 있다"고 전했다.[21]

그러나 2016년 11~12월에 한창이였던 촛불집회가 국회의 탄핵안 가결 및 헌법재판소의 본격적인 탄핵안 심판 시작과 함께 소강상태에 접어듦에 따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발언으로 인기를 끌었던 이재명의 지지율도 하락하였다. 결국 이재명의 첫 번째 대선 도전은 당내 경선에서 347,647표를 득표하며 936,419표를 얻은 문재인, 353,631표를 얻은 안희정에 밀려 3위로 마감하였다.[22]

제35대 경기도지사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를 접견하고 있는 이재명 경기도지사 (2019년 3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지사 후보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23] 2018년 3월 15일, 경기도지사 예비후보로 등록하기 위해 성남시장직을 사임하였으며, 3월 27일 국회 정론관에서 경기도지사 출마를 공식 선언하였다.[24] 당내 경선에서 60.0%의 득표율을 얻어 전해철, 양기대 후보를 누르고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로 선출되었다.[25] 본선에서는 56.40%의 득표율을 얻어 35.51%의 득표율을 얻은 남경필 자유한국당 후보를 제치고 임창열 이후 20년 만에 당선된 민주당계 정당 출신 경기도지사가 되었다.

2019년 6월 18일, ‘닥터헬기’가 경기도 내 공공청사, 학교운동장, 공원 등에서 자유롭게 이·착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닥터헬기는 기존에 이용했던 소방헬기 착륙장 588곳 외에도 경기도 공공청사 77곳과 학교 운동장 1,755곳에서 이착륙할 수 있다. 이번 협약으로 경기도 내 닥터헬기 이착륙장소는 588곳에서 1,832곳이 추가돼 총 2,420곳으로 늘었다.[26] 이재명은 “응급구조를 담당하는 일은 현행법상 ‘긴급재난’에 해당되는 만큼 목숨이 위태로운 긴급상황에는 주거침입이나 재물손괴 등의 행위가 허용된다. 예를 들어 헬기를 내릴만한 회사운동장이 잠겨있을 경우 과감하게 헬기를 내려도 된다”며 “오늘 협약된 공공기관, 학교를 기본적으로 활용하되 소방재난본부 지침 등을 만들어 비상상황에는 긴급재난 형태로 착륙이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해 달라”고 지시했다.[26] 닥터헬기 이착륙 문제를 꾸준히 지적해 온 아주대병원 이국종 교수(경기남부권역외상센터장)는 이번 조치가 전국으로 확산되길 바란다며 환영했다. 이 교수는 “런던에서 비행할 때 제일 많이 이용했던 착륙장이 바로 학교운동장이었다. 교사들이 수업하다 말고 운동장으로 나와 출동 현장을 학생들에게 보여주곤 했는데, 교사들이 ‘생명존중사상을 뿌리 깊게 인식시키는 그 어떤 교육보다 중요한 현장교육’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을 보면서 한국에서 어떻게든 실현해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하지만 현실은 쉽지 않았다. 선진국형 모델 도입을 통해 대한민국이 선진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 준 이 지사에게 감사를 전한다”며 “경기도를 넘어 대한민국에서 이러한 모델이 구축되길 간절히 바란다”고 감회를 밝혔다.[26]

코로나19 유행 초기였던 2020년 2월 25일 경기도 과천시 별양상가2로 제일쇼핑 4층에 있는 신천지 총회본부에 이재명이 직접 방문해 신천지 총회본부 쪽에 신도 명단 제출을 요구했다. 경기도는 이미 이날 오전 10시 30분께 경찰과 함께 역학조사관 2명,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의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명 등 관계 공무원 40여 명을 보내 신도 명단 확보를 위한 강제 역학조사에 나섰다. 하지만, 신천지 총회본부 쪽이 3시간이 지나도록 명단 제출을 하지 않고 버티는 바람에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였다.[27] 이처럼 양쪽의 실랑이가 벌어지는 사이 이재명이 현장을 방문해 강경한 태도로 맞섰고, 신천지 쪽은 태도를 바꿨다. 신천지 쪽은 이날 오후 3시께 컴퓨터에 저장된 신도 명단을 넘겨줬고, 경기도는 이 명단을 확보했다. 이날 경기도가 확보한 신도 명단은 33,562명이며 지난 16일 예배에 참석한 신자 9,930명의 명단도 확보했다. 이에 경기도는 예배 참석자가 신도 명단과 상당 부분 겹칠 것으로 추정했다.[27]

코로나19 장기화 속에 재난지원금 지급 카드를 꺼내 전국으로 확산시켰다. 경기도는 2020년 4월과 2021년 2월 전 도민 1인당 10만 원과 20만 원씩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했다.

2021년 8월부터 지급되기 시작한 제5차 재난지원금 상위 88% 지급안에 반대하였다. 이에 이재명은 본인의 관할 구역인 경기도에 한해서 든 경기도민에게 1인당 25만원씩의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은 관련 사실을 브리핑 하며 "코로나19 피해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모든 국민이 겪고 있다. K-방역 역시 모든 국민의 적극적 협조와 희생으로 이루어냈다. 함께 고통받으면서 정부의 방역조치에 적극 협력하고 무거운 짐을 나누었던 모든 국민들이 고루 보상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28]

제20대 대선 후보

2021년 7월 1일 “국민을 가르치는 ‘지도자’가 아닌 주권자를 대리하는 일꾼으로서 저 높은 곳이 아니라 국민 곁에 있겠다”며 대선 도전을 공식 선언했다. 이재명은 영상을 통해 출마 선언을 하며 “자랑스러운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부의 토대 위에 필요한 것은 더하고, 부족한 것은 채우며, 잘못은 고쳐 더 유능한 4기 민주당 정권, 더 새로운 이재명 정부로 국민 앞에 서겠다”고 밝혔다. “위기의 원인은 불공정과 양극화에 있다”며 “공정성 확보, 불평등과 양극화 완화, 복지확충에 더해 경제적 기본권이 보장돼 모두가 최소한의 경제적 풍요를 누리는 사회여야 지속적 성장과 국민의 더 나은 삶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는 헌법 1조를 읽으면서 시작한 출마 선언에는 공정이 7번, 불공정이 6번, 성장이 11번 언급됐다. 2017년 출마 선언에서 언급 횟수가 4번에 그쳤던 ‘성장’의 비중이 이번엔 더욱 커진 셈이다.[29]

2021년 10월 10일 719,905표를 득표하며 누적 50.29%을 기록해 39.14%를 얻은 이낙연을 누르고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확정되었다.[30]

2021년 7월 1일,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경선 후보 출마 선언 후 발표한 공약은 다음과 같다.[31]

  • 전환적 공정성장으로 대전환 위기를 도약의 기회로
  • 기본소득으로 경제발전과 분배 정의의 기반 마련
  • 기본주택 공급 및 부동산 안정화 실현
  • 기본대출 시행으로 금융기본권 보장 및 포용적 금융제도 실현
  • 여성이 불안하지 않은 나라, 청년에게 희망을 주는 나라

2022년 3월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47.83%를 득표하여 윤석열에게 0.73%p 격차로 패배하였다.

제21대 국회의원

송영길 의원이 2022년 6월 지방선거에서 서울특별시장 후보에 등록하기 위해서 4월 29일에 사퇴한 계양구 을의 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전략공천되어 2022년 6월 1일 제2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대표

2022년 8월 28일 득표율 77.77%로 박용진 후보(22.23%)를 제치고 제6대 더불어민주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2023년 2월 16일 서울지방검찰청 반부패수사1부는 위례·대장동 개발 특혜와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으로 이재명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였으나,[32] 2023년 2월 27일 국회에서 체포동의안이 부결되었다.[33]

2023년 9월 대북송금,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위증교사 혐의로 체포동의안이 제출되어 찬성 149표, 반대 136표로 가결됐으나, 서울중앙지방법원 유창훈 영장전담 부장판사에 의해 구속영장이 기각됐다.

2024년 피습 이후 1월 10일 퇴원하고,[34], 16일 당무에 복귀했다.[35]

2024년 신년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이 ‘민생·전쟁·저출생·민주주의’라는 측면에서 4대 위기에 처했다”며 남북간 핫라인과 북방외교 복원, 보편적 출생지원 원칙에 기초한 출생기본소득, 사립대 등록금 부담 감경 등의 방안을 발표했다.[36][37]

제21대 대선 후보

 
국회의사당 로텐더홀에서 대통령 취임 선서를 하고 있는 이재명(2025년 6월 4일)
 
국회의사당에서의 취임식이 끝난 후 국회 본청 앞에서 영부인 김혜경과 함께 하는 모습(2025년 6월 4일)

2025년 4월 10일 유튜브를 통해 출마를 선언했으며,[38] 2025년 4월 27일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누적 득표율 89.77%로 최종 후보로 선출되었다.[39]

2025년 4월 30일, 이재명 후보는 ‘진짜 대한민국 선거대책위원회’ 출범식을 열었다. 선대위원장만 22명에 이르는 대형 조직으로, 기존의 친명계뿐 아니라 비명계 인사들과 보수 계열 출신의 중도·보수 성향 인물들까지 아우르며, 통합과 포용을 내세웠다. 조국혁신당·진보당·사회민주당·기본소득당 등 4당과 공동 선거대책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으며, 각 당 대표들이 공동 선대위원장으로 합류했다.[40] 이재명 후보는 선대위 출범식에서 “국민이 주인이고 국민이 행복한 진짜 대한민국을 반드시 만들겠다”며, 국민 통합과 실용주의 정책을 강조했다.[41]

5월 9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사회민주당, 기본소득당 5개 원내 정당이 국회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실에서 '광장 대선연합 정치 시민연대-제정당 연석회의'를 열고 '우리는 내란의 완전한 종식과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광장대선후보로 선정하고 지지를 선언한다'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하였고, 조국혁신당, 사회민주당, 기본소득당은 후보를 선출하지 않았으며 진보당의 후보로 선출된 김재연 후보는 사퇴했다.[42]

이재명 후보는 후보 등록 첫날인 5월 10일 등록 절차를 끝냈다. 이 후보 측은 대선을 진짜 대한민국과 가짜 대한민국 세력의 싸움으로 규정하고 꼭 이겨서 진짜 대한민국을 되찾겠다고 포부를 밝혔다.[43]

제21대 대통령

학력

경력

의정 활동

  • 2022. 06.~2024. 05.: 제21대 국회의원(인천 계양구 을, 더불어민주당, 초선)
    • 2022. 06~2024. 05: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방위원회 위원
  • 2024. 05~2025. 06.: 제22대 국회의원(인천 계양구 을, 더불어민주당, 재선)
    • 2024. 06.~2025. 06.: 제22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수상

  • 성남NCC 인권위원회 인권상
  • 2012년 포브스 글로벌 CEO 대상(글로벌 도시 브랜드 부문)
  • 2013년 동아일보 대한민국 경영대상(윤리경영부문)
  • 2013년 한국경제매거진 대한민국 소통경영
  • 2013년 매경미디어그룹 대한민국 창조경제 리더
  • 2013년 중앙일보 한국을 빛낸 창조경영대상
  • 2013년 TV조선 한국의 영향력 있는 CEO
  • 2014년 포브스 최고경영자 대상(시민중심경영 부문)
  • 2014년 동아일보 대한민국 경영대상(윤리경영부문)
  • 2014년 TV조선 경영대상 지역혁신 경영대상
  • 2014년 한국경제신문 대한민국 미래창조 경영대상 투명경영부문 대상 성남시 수상
  • 2014년 중앙일보 대한민국 경제리더 대상(사회책임경영 부문)
  • 2014년 매니페스토 약속대상 우수상
  • 2014년 대한민국 경제리더 대상(사회책임경영부문)
  • 2014년 시사저널, 미디어리서치 가장 영향력 있는 차세대 리더 100인
  • 2014년 제3회 대한민국 실천 대상(지역발전 부문)
  • 2014년 동아일보 한국의 최고경영인상(리더십경영 부문)
  • 2014년 대한민국 CEO 리더십 대상(공유가치경영 부문)
  • 2015년 TV조선 한국의 영향력 있는 CEO(사회책임경영 부문)
  • 2015년 대한민국 소비자대상(소비자행정 부문)
  • 2015년 헤럴드경제 대한민국 미래경영대상(의정행정 부문)
  • 2015년 전국 기초자치단체장 매니페스토 최우수(사회적경제 부문)
  • 2015년 대한민국 경영대상(사회공헌경영 부문)
  • 2016년 세계자유민주연맹 자유장
  • 2016년 대한민국 CEO경영 대상 일자리 창출 경영 부문 대상
  • 2016년 전국 기초자치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청년문제해소 부문)
  • 2016년 전국 기초자치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소식지 부문)
  • 2017년 전국 기초자치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도시재생 부문)
  • 2017년 올해의 브랜드 대상(소통참여도시 부문)
  • 2017년 올해의 브랜드 대상(정책 부문)
  • 2019년 한국지방자치학회 전국 지방자치단체 평가 광역도 부문 1위(경기도)
  • 2019년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전국 시·도지사 공약실천계획서 평가 SA등급
  • 2020년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전국 시·도지사 공약이행 및 정보공개 평가 SA등급
  • 2020년 한국공공정책평가협회·한국거버넌스협회 2020년 전반기 우수행정 및 정책사례 선발대회 광역지방정부부문 최우수상(경기도)
  • 2021년 제7회 소비자권익증진상(지자체장 부문)
  • 2021년 한신대학교 제27회 한신상
  • 2023년 제25회 백봉신사상 신사의원 베스트 10
  • 2025년 미국 타임 2025 가장 영향력있는 100인

저서

  • 《고난을 통해 희망을 만들다》, 청동거울(2010) ISBN 9788957491287
  • 《오직 민주주의, 꼬리를 잡고 몸통을 흔들다》, 리북(2014) ISBN 9788997496211
  • 《이재명, 대한민국 혁명하라》, 메디치미디어(2017) ISBN 9791157060771
  • 《이재명은 합니다》, 위즈덤하우스(2017) ISBN 9788960863255
  • 《함께 가는 길은 외롭지 않습니다》, 위즈덤하우스(2022) ISBN 9791168123281
  • 《결국 국민이 합니다》, 오마이북(2025) ISBN 9788997780624

공저

  • 《이재명의 굽은 팔 (굽은 세상을 펴는 이재명의 삶과 공부)》, 김영사(2017) ISBN 9788934977193
  • 《대통령의 7시간 추적자들》, 북콤마(2017) ISBN 9791187572022
  • 《이재명의 나의 소년공 다이어리》, 팬텀북스(2021) ISBN 9791161691749
  • 《그 꿈이 있어 여기까지 왔다》, 아시아(2022) ISBN 9791156625889

가족

  • 조부: 이상하(李相夏,1906~1982)
  • 조모: 예안 이씨(禮安 李氏, 1907~1998)
    • 부: 이경희(李敬熙,1931~1986)
  • 외조부: 구두회(具斗會,1895~1968)
  • 외조모: 평산 신씨(平山申氏, 1896~1980)
    • 모: 능성 구씨 구효명(具孝明, 1931~2020)
      • 형: 이재국(李在國,1953~)
      • 누나: 이재순(李在順,1956~)
      • 형: 이재영(李在榮,1957~)
      • 형: 이재선(李在善,1959~2017)
      • 여동생: 이재옥(李在玉,1965~2014)
      • 남동생: 이재문(李在文,1966~)
    • 장인: 김종진(金宗鎭)
    • 장모: 풍양 조씨(豐壤 趙氏)

역대 선거 결과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2006년 지방 선거 18대 시장 경기 성남시 열린우리당 78,059표
23.75%
2위 낙선 민선 4기
2008년 총선 18대 국회의원 경기 성남시 분당구 갑 통합민주당 23,822표
33.23%
2위 낙선
2010년 지방 선거 19대 시장 경기 성남시 민주당 201,047표
51.16%
1위   초선, 민선 5기
2014년 지방 선거 20대 시장 경기 성남시 새정치민주연합 239,685표
55.05%
1위   재선, 민선 6기
2018년 지방 선거 35대 도지사 경기도 더불어민주당 3,370,621표
56.40%
1위   초선, 민선 7기
2022년 대선 20대 대통령 대한민국 더불어민주당 16,147,738표
47.83%
2위 낙선
2022년 6·1 재보선 21대 국회의원 인천 계양구 을 더불어민주당 44,289표
55.24%
1위   초선
2024년 총선 22대 국회의원 인천 계양구 을 더불어민주당 48,365표
54.12%
1위   재선
2025년 대선 21대 대통령 대한민국 더불어민주당 17,287,513표
49.42%
1위  

소속 정당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열린우리당 2005~2007 정계 입문
대통합민주신당 2007~2008 합당
통합민주당 2008 합당
민주당 2008~2011 당명 변경
민주통합당 2011~2013 합당
민주당 2013~2014 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 2014~2015 합당
더불어민주당 2015~ 당명 변경

방송 출연

같이 보기

각주

  1. “이재명, 경주이씨 대표해 ‘표암공 향사’ 봉행”. 뉴스피크. 2018년 5월 6일. 
  2. “image hosted at ImgBB”. 2025년 6월 7일에 확인함. 
  3. https://www.sedaily.com/NewsView/2625GVKJZR
  4. “[특보] 제21대 대통령 이재명의 여정”. KBS. 2025년 6월 4일. 
  5. 주영진 (2021년 12월 22일). “이재명 "'김문기 사망' 안타까워…양도세 1년만 유예 후 다시 중과". 《SBS》. 
  6. 이수민 (2023년 4월 6일). “이재명 부모 묘소 '氣막힌 반전'..."선거용 기 보충 의식이었다". 《중앙일보》. 
  7. 소종섭 (2017년 1월 31일). “이재명 성남시장 부인 김혜경”. 《동아일보》. 
  8. "고집 세고 성적 '미미'" 국민학교 성적표 공개한 이재명”. 2021년 5월 5일.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9. “[파워엘리트] 이재명, 교복 부럽던 `소년공`에서 `대선 주자`까지”. 2021년 1월 11일.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10. “이재명 "대선 후보? 스피커가 커져 좋다". 《프레시안》. 2015년 5월 13일. 2020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11. 김, 종필 (2010년 5월 29일). “민) 이재명 후보, 병역 문제 공개 검증 하자”. 《굿타임스》. 2018년 7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12. 조선일보 (2021년 5월 15일). “이재명의 스승의 날 회고 “재명아, 너는 가능성이 있어””.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13. “이재명 "전두환 덕 대학 간 셈?"…등록금 면제받고 대학 간 사연 공개”. 2021년 7월 3일.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14. 주영진 (2021년 1월 11일). “소종섭의 新 혼맥 ③ 이재명 경기도지사 - 첫 만남은 ‘007 미팅”. 《여경신문》. 
  15. “이재명측, ‘교회 제적’ 주장에 “비정기 출석…교회가 모른듯””. 2021년 12월 10일. 2025년 5월 13일에 확인함. 
  16. “이재명 “노무현 대통령이 만들어준 길 따라 여기까지 와””. 2021년 9월 2일.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17. '지존파' 파헤친 특수통 문무일…검정고시 출신 이재명”. 2019년 3월 24일.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18. “이재명 “성남의료원, 정치인 이재명의 시작””. 2021년 9월 13일.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19. “[경기도지사 당선자 이재명 그는 누구인가]`흙수저` 소년공, 인권변호사 거쳐 `1300만 도정 책임자`로”. 2021년 9월 28일에 확인함. 
  20. 김, 회경 (2016년 12월 12일). “문재인 1위… 이재명, 반기문 제치고 2위 껑충”. 《한국일보》. 2021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21. 오수현. “3위로 치고 나온 이재명, 초조해진 대선가도 잠룡들”.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22. 완주 그리고 21.2%, '변방장수' 이재명의 도성 출전기. 오마이뉴스. 2017년 4월 3일.
  23. 경기도지사 후보적합도, 이재명 47.6% 압도적 1위...남경필 14.9%. 뉴스웍스. 2018년 3월 6일.
  24. 이재명,경기도지사 출마선언 “유일한 필승카드로 경기도 탈환할 것”. 경향신문. 2018년 3월 27일.
  25. 민주, 서울 박원순·경기 이재명·광주 이용섭 후보 확정(종합). 연합뉴스. 2018년 4월 20일.
  26. “이국종의 닥터헬기 꿈 이재명을 만나 현실이 되다”. 2019년 6월 19일. 2021년 9월 28일에 확인함. 
  27. “이재명, 신천지 신도 3만3천여명 명단 직접 확보 “수도권 확산 막아야””. 2020년 2월 25일. 2021년 9월 28일에 확인함. 
  28. “이재명 “모든 경기도민에 재난지원금 25만원씩 지급할 것””. 2021년 8월 13일. 2021년 9월 28일에 확인함. 
  29. “[영상] 이재명 대선 출마 선언…“누구나 경제적 풍요 누리게 할 것””. 2021년 7월 1일.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30. “[속보]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확정…누적 득표율 50.29%”. 2021년 10월 10일. 2021년 10월 19일에 확인함. 
  31. “더불어민주당”. 2021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13일에 확인함. 
  32. 이대희 (2023년 2월 16일). “검찰, 이재명 구속영장…제1야당 대표 헌정사상 최초(종합)”. 《연합뉴스》. 
  33. “이재명 체포동의안 부결, 무엇을 남겼나?”. 《bbc 뉴스 코리아》. 2023년 2월 27일. 
  34. 고, 한솔 (2024년 1월 10일). “이재명, 피습 8일 만에 퇴원…“상대 없애는 정치 끝내자””. 《한겨레》. 2024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5. 강, 윤주 (2024년 1월 17일). “이재명 "세상 사람 고통 비하면 사소한 일... 국민 맡긴 책임에 최선 다할 것". 《한국일보》. 2024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6. 강, 재구 (2024년 1월 31일). “이재명 “민생·전쟁·저출생·민주주의 위기…586 아닌 검사독재 청산””. 《한겨레》. 2024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2월 1일에 확인함. 
  37. 이, 유진; 신, 주영 (2024년 1월 31일). “이재명 “출생기본소득 제안···대학등록금 등 교육비 일체 지원””. 《경향신문》. 2024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2월 1일에 확인함. 
  38. 김지인 (2025년 4월 10일). “이재명, 대선 출마 공식 선언 "진짜 대한민국 만들 것". 2025년 4월 10일에 확인함. 
  39. 민주당 대선후보로 이재명 선출…89.77% 최고 득표율 / KBS 2025.04.27
  40. [단독 민주당, 조국당·진보당 등 4당과 공동선대위 구성 - 조선일보, 2025-05-11]
  41. “이재명은 모든 국민의 후보, 반드시 승리”…민주당 선대위 출범, 매일경제, 2025-04-30
  42. 기자, 박정연 (2025년 5월 9일). “이재명, 조국혁신당·진보당 등 원내 5개정당 단일후보로…김재연도 사퇴”. 2025년 5월 11일에 확인함. 
  43. 민주, 선관위에 이재명 대선후보 등록…"진짜 대한민국 되찾을 것", 뉴시스, 2025-05-10
  44. “다음 한문을 해석해 주세요.”. 2022년 10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  
전임
윤석열
(파면)
한덕수
(권한대행)
최상목
(권한대행)
이주호
(권한대행)
2025년 6월 4일~
전임
이주호
한반도의 국가원수
2025년 6월 4일~
전임
이주호
한반도의 정부수반
2025년 6월 4일~
전임
이대엽
제19·20대 경기도 성남시장(민선)
2010년 7월 1일~2018년 3월 15일
후임
이재철(권한대행)
은수미
전임
남경필
제35대 경기도지사(민선)
2018년 7월 1일~2021년 10월 25일
후임
오병권(권한대행)
김동연
전임
송영길
윤호중, 박지현(비상대책위원장)
박홍근(권한대행)
우상호(비상대책위원장)
제6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2022년 8월 28일~2024년 6월 24일
후임
박찬대(권한대행)
이재명
전임
이재명
박찬대(권한대행)
제7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2024년 8월 18일~2025년 4월 9일
후임
박찬대(권한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