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결 운행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2년 11월) |
직결 운행(直結 運行)은 철도 교통에서 다른 철도 회사나 동일한 철도 회사의 다른 노선에 걸쳐, 동일한 열차가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직결 운전(直結運轉), 직통 운전(直通運轉), 직통운행(直通運行) 등으로도 부른다. '직통 운전'(일본어: 直通運転)이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직통 운전은 대한민국에서도 사용되기는 하지만, 대한민국의 경우 급행 운전과 동의어로 쓰는 일이 있기 때문에[1] 이 글에서는 '직결 운행'으로 통일한다.
개요
편집직결 운행에는 두 노선간 양방향 직결 운행을 하는 상호 직결 운행(相互-)과 한쪽으로만 하는 편방향 직결 운행(片方向-)이 있다.[2]
이용객의 입장에서는 접속역에서 갈아타지 않고 승차역으로부터 목적역까지 왕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열차의 운행 계통이 복잡하게 되기 쉽기 때문에 이용객에게 잘 알려지지 않거나, 운전 시각표가 지켜지지 않았을 때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파급된다는 단점도 있다.
다른 철도 회사 간의 직결 운행의 경우, 각 회사 소유의 차량을 해당 회사 승무원이 운전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대 회사에 차량을 빌려주는 형식을 갖추는 경우도 있다. 이때 각 회사의 노선 내에서는 해당 회사의 승무원이 열차를 운전하기도 한다.[3]
직통 노선 연장을 위해서는, 시설·운전 업무나 여객 안내·영업 면에서 다음과 같은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선로의 접속. (즉 철도선로 접속)
- 접속역의 정비.
- 차량의 정비·개조 내지 신조(新造).
- 열차 안내 시스템 등의 정비.
- 승무원 및 운전기사 대상 운전지령 훈련.
- 직결 운전 시각표의 작성.
- 경우에 따라서는 차랑 기지의 개수(改修)·신설·확장.
- 분실 습득물의 취급.
- 전기 방식이 다른 경우에는 가선 전압(架線 電壓)의 변경이나 차량의 복전압 대응화. (대한민국에서는 구간별로 전기를 다르게 해놓고(크게 직류 1500V↔교류 25000-50000V 60HZ) 교직전력사구간을 설치해놓은 다음, 차량의 복전압 대응시스템 운영을 통하여, 이러한 이종전압구간을 운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자세한 내용은 "절연구간" 데이터 참고)
- 신호보안시스템이 다른 경우에는 차량의 두가지 이상 신호보안시스템 대응화. (대한민국에서는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수인·분당선이 이에 해당하는데, 수도권 전철 4호선은 당고개에서 금정까지는 ATC(자동열차 제어장치)를 사용하고 금정에서 신호보안시스템을 변경하여 금정에서 나머지 오이도까지는 ATS(자동열차 정지장치)를 사용하고, 수인·분당선은 인천(지하)역을 출발점으로 하여, 오이도, 안산, 고색까지는 ATS를 사용하고, 고색에서 죽전, 수서, 왕십리까지는 ATC를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ATC 문서와 ATS 문서, 수도권 전철 4호선 문서와 수인·분당선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 요금 책정 방식의 정비. 대한민국의 수도권 전철에서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사용하므로 직결 운행에 대한 별도의 요금 조정이 필요 없다. 하지만 일본은 운영 회사에 따라 별도의 요금을 지불한다.[4]
직결 운행의 사례
편집다른 운영 주체
편집-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 경부선 ~ 경인선 / 병점기지선 / 장항선
- ●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일산선[5]
-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선[6] ~ 안산선 ~ 과천선 ~ 서울 지하철 4호선 ~ 진접선
- ● 수도권 전철 서해선: 경의선[7] ~ 서해선(대곡~소사) ~ 서해선(소사~원시)
- ● 서울 지하철 7호선(장암역~온수역) ~ ● 서울 지하철 7호선(온수역~석남역)[8]
- ● 수도권 전철 8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 ~ 별내선
- ● 서울 지하철 9호선(김포공항역~신논현역) ~ ● 서울 지하철 9호선(신논현역~중앙보훈병원역)
동일한 운영 주체
편집- KTX
- ITX-새마을 또는 무궁화호, KTX-이음 일부 열차
- KTX-이음
- ITX-청춘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선 ~ 용산선 ~ 경원선 ~ 중앙선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선 ~ 안산선[9] ~ 분당선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망우선/중앙선 ~ 경춘선
- ● 수도권 전철 5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 하남선 또는 ~ 마천지선
일본에서 직결 운행의 예는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례적인 사례와 유형 또한 다양하다. 일본의 직결 운행 중 이례적인 사례가 일본 고속철도 신칸센 상호 직결 운행인데, 도카이도 신칸센이 도쿄역을 출발하여, 산요 신칸센 종점인 하카타역까지 1975년 3월에 전구간 직결 운행을 개시하였고, 2011년 3월에 개통된 큐슈 신칸센이 가고시마 중앙역을 출발하여, 산요 신칸센 기점인 하카타역과 접속하면서 서로 직결 운행하는 것이 대표적인 선례이다. 전철 또한 상호 직결 운행을 많이 하는데, 예를 들어 도쿄 메트로와 타 운영 회사, 도에이 지하철과 타 운영 회사, 후쿠오카 시 지하철 공항선과 큐슈여객철도(이하 JR 큐슈) 지쿠히 선 등 두 양사간의 상호 직결 운행을 적으면 아래와 같다.
동일한 운영 주체
편집- 도카이도 신칸센 ~ 산요 신칸센
- 도카이여객철도(이하 JR도카이) 및 서일본여객철도(이하 JR서일본) 소속의 신칸센 N700계 전동차 및 신칸센 N700S계 전동차(16량 편성)는 도쿄역 - 나고야역 - 신오사카역 - 오카야마역 - 하카타역 구간에서만 운행된다(도쿄발 하카타행 노조미호 기준).
-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 :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 호난초 지선
다른 운영 주체
편집-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 도쿄 지하철 히비야 선 ~ 도부 철도 이세사키 선 ~ 도부 철도 닛코 선
-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 : 주오 본선 ~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 도요 고속 철도 도요 고속선 / 소부 본선
-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 사이타마 고속 철도선 ~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 도쿄 급행 전철 메구로 선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 ~ 도조 본선 / 세이부 철도 유라쿠초 선 ~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 선
-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 선 ~ 도쿄 지하철 지요다 선 ~ 아야세 지선/ 조반선
-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 : 도쿄 급행 전철 덴엔토시 선 ~ 도쿄 지하철 한조몬 선 ~ 도부 철도 이세사키 선 ~ 도부 철도 닛코 선
-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 요코하마 고속 철도 미나토미라이21 선 ~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 ~ 도쿄 지하철 후쿠토신 선 ~ 도조 본선 / 세이부 철도 유라쿠초 선 ~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 선
- 도에이 지하철 아사쿠사선 : 게이힌 급행 전철 공항선 / 게이힌 급행 전철 즈시 선 / 게이힌 급행 전철 구리하마 선 ~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 ~ 도에이 지하철 아사쿠사 선 ~ 게이세이 전철 오시아게 선 ~ 게이세이 전철 본선 ~ 호쿠소 철도 호쿠소 선 / 게이세이 전철 나리타 공항선
- 도에이 지하철 미타선 : 도에이 지하철 미타 선 ~ 도쿄 급행 전철 메구로 선
- 도에이 지하철 신주쿠선 : 도에이 지하철 신주쿠 선 ~ 게이오 신선 ~ 게이오 본선 ~ 게이오 전철 다카오 선 / 게이오 전철 사가미하라 선
국제 열차
편집영국, 프랑스, 벨기에를 잇는 유로스타 같은 국경을 넘어 운행하는 국제 열차도 직결 운행의 대표적 선례로 볼 수 있다.
사진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예를 들어 인천국제공항철도에서는 급행 열차를 ‘직통 열차’라고 표현한다. 다만, 9호선과 직결되기 전까지는 서울역-인천국제공항역간 정차역 없이 운행하므로 사전적 의미에는 부합된다. 또한, 직통이라는 단어의 대체인 '직결'이 마련되어 있다.
- ↑ 편방향 직결 운행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경부고속철도에 직결 운행하는 SRT가 있다. SRT는 경부고속철도에 직결 운행을 하지만, KTX는 수서평택고속선에 직결 운행을 하지 않는다.
- ↑ 일본의 예를 들면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의 후쿠오카 공항역을 시발점으로 하여 지쿠히선의 니시카라쓰역까지 운행하는 열차가 있을 때, 출발역인 후쿠오카 공항역부터는 후쿠오카시 교통국 소속 기관사가 운행을 한다. 그러다가 중간역인 메이노하마역에서부터는 큐슈여객철도(이하 JR큐슈) 소속 기관사가 운전하는데, 즉 회사와 차량에 관계없이 자신에게 배정된 승무 노선만 승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는 예를 들어 서울교통공사 소속의 서울 지하철 4호선 불암산역에서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안산선 오이도역까지 운행하는 경우 중간역인 사당역이나 남태령역에서 승무원을 교대하지 않고 자신이 소속중인 차량 소유 회사의 승무원이 전 구간 운행을 한다. 즉, 승무노선에 상관 없이 자신의 회사 소속 차량을 승무하도록 원칙적으로 정해져 있다. 다만 서울 지하철 7호선의 경우는 예외로 장암역을 출발점으로 하여 석남역까지 운행하는 열차가 있을 때, 출발역인 장암역부터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기관사가 운행을 하다가 중간역인 온수역에서부터는 인천교통공사 소속 기관사가 운행을 한다.
- ↑ 예를 들어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의 후쿠오카 공항역에서 지쿠히선의 니시카라쓰역까지 이용할 경우, 후쿠오카 공항역부터 메이노하마역까지는 후쿠오카시 교통국의 요금을 지불하고, 메이노하마역부터 니시카라쓰역까지는 큐슈여객철도(이하 JR큐슈)의 요금을 지불한다.
- ↑ 전동차 정비는 서울교통공사에서 전담한다.
- ↑ 수인·분당선 공유 구간(오이도역 ~ 한대앞역)
- ↑ 경의·중앙선 공유 구간(일산역 ~ 능곡역)
- ↑ 열차 승무는 인천교통공사 7호선 운영사업단 소속 승무원이 담당하고, 전동차 정비는 서울교통공사에서 전담한다.
- ↑ 수도권 4호선 공유 구간(한대앞역 ~ 오이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