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반란 목록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반란을 모아 편집한 것이다. 시대순으로 나열했으며 임진왜란, 병자호란과 같은 전란은 포함하지 않았다.
- 변란: 권력 장악을 위한 정치투쟁이다.
- 쿠데타: 변란의 일종으로서, 단기간 내에 성공 또는 실패하며 피지배 민중 일반보다 군사력 동원에 의존한다.
- 내란: 권력 획득에 실패한 변란 주도세력이 국토 일부를 참절하여 장기간 실효지배하는 상태이다.
- 민란: 생존에 위협을 받을 정도의 수탈을 당한 신민이 그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봉기하는 경제투쟁이다.
삼국시대
편집
남북국시대
편집
반란명 |
연도 |
유형 |
반란자 |
추대자 |
진압자 |
결과
|
---|
김흠돌의 난 |
681년 |
변란 |
김흠돌 |
불명 |
신문왕 |
반란 실패, 김흠돌 및 관련자들 처형
|
96각간의 난 |
768년 |
변란 |
김대공, 김대렴, 96각간 |
불명 |
혜공왕 |
반란 실패, 반란 주모자들 처형
|
김지정의 난 |
780년 |
변란 |
김지정 |
불명 |
김양상, 김경신 |
반란 실패, 반란 와중에 혜공왕 피살
|
김헌창의 난 |
822년 |
변란 |
김헌창 |
김헌창 |
장웅, 위공, 제릉, 김균정 |
반란 실패, 주모자들 처형
|
김범문의 난 |
825년 |
변란 |
김범문 |
김범문 |
총명 |
반란 실패, 주모자들 처형
|
장보고의 난 |
846년 |
내란 |
장보고 |
|
염장, 김양 |
반란 실패, 장보고 암살
|
원종·애노의 난 |
889년 |
민란 |
원종, 애노 |
불명 |
진성여왕, 나마 영기 |
진압 실패, 후삼국 시대 도래
|
고려시대
편집
반란명 |
연도 |
유형 |
반란자 |
추대자 |
진압자 |
결과
|
---|
왕건반정 |
918년 |
쿠데타 |
왕건, 신숭겸, 복지겸, 홍유, 배현경, 박술희 |
왕건 |
궁예 |
반란 성공, 궁예는 도피 중 농민에게 피살, 고려 성립(태봉의 국호를 고려로 환원)
|
왕규의 난 |
945년 |
변란 |
왕규 |
광주원군 |
정종, 왕식렴 |
반란 실패, 왕규 처형
|
강조의 정변 |
1009년 |
쿠데타 |
강조 |
대량원군 |
김치양 |
반란 성공
|
이자겸의 난 |
1126년 |
쿠데타 |
이자겸, 척준경 |
이자겸 |
인종, 척준경 |
반란 실패, 이자겸 실각
|
묘청의 난 |
1135년 ~ 1136년 |
내란 |
묘청, 정지상, 백수한, 김안, 조광 |
묘청 |
김부식 |
반란 실패, 묘청 살해 및 반란 주역들 처형
|
무신정변 |
1170년 |
쿠데타 |
정중부, 이고, 이의방, 이의민, 이소응 |
의종 |
없음 |
반란 성공, 의종 폐위, 문신들 처형
|
김보당의 난 |
1173년 |
변란 |
김보당, 이경직, 장순석, 유인준, 배윤재, 한언국 |
의종 |
이의민, 박존위 |
반란 실패, 의종 살해, 반란 주모자들 모두 처형
|
조위총의 난 |
1174년 ~ 1176년 |
내란 |
조위총 |
|
이의방 |
반란 실패
|
망이·망소이의 난 |
1176년 ~ 1177년 |
민란 |
망이, 망소이 |
불명 |
정황재 |
고려시대 민중운동, 반란 실패, 망이과 망소이 처형
|
김사미·효심의 난 |
1193년 |
변란 |
김사미, 효심 |
불명 |
전존걸, 이의민, 최인, 고용지 |
고려시대 노예해방운동. 반란 실패, 김사미와 효심 처형
|
만적의 난 |
1198년 |
민란 |
만적, 개경 사노비들 |
불명 |
최충헌, 한충유 |
고려시대 민중운동, 반란 실패, 만적과 주모자들 처형
|
삼별초의 난 |
1270년 ~ 1273년 |
내란 |
배중손, 김통정 |
|
원종, 김방경, 훈둔 |
반란 실패
|
공민왕 시해 사건 |
1374년 |
변란 |
홍륜, 권진, 홍관, 한안, 최선, 최만생 |
불명 |
공민왕, 이인임, 안사기, 경복흥 |
반란 실패, 공민왕 피살, 그러나 이인임 등에게 진압, 홍륜등 주모자들 처형
|
위화도 회군 |
1388년 |
쿠데타 |
이성계, 조민수 |
창왕 |
최영 |
반란 성공, 우왕 폐위 및 최영 처형 고려 멸망 및 조선 건국 이성계, 조선 초대 임금으로 즉위
|
반란명 |
연도 |
유형 |
반란자 |
추대자 |
진압자 |
결과
|
---|
제1차 왕자의 난 |
1398년 |
쿠데타 |
이방원, 하륜, 이숙번 |
|
이방석 |
반란 성공
|
제2차 왕자의 난 |
1400년 |
쿠데타 |
이방간, 박포 |
이방간 |
이방원 |
반란 실패, 이방간 유배 및 박포 처형
|
조사의의 난 |
1402년 |
변란 |
조사의 |
이성계 |
|
반란 실패
|
이징옥의 난 |
1455년 |
변란 |
이징옥 |
이징옥 |
|
반란 실패
|
계유정난 |
1455년 |
쿠데타 |
수양대군 |
수양대군 |
김종서 |
반란 성공
|
세조찬위 |
1455년 |
쿠데타 |
수양대군 |
수양대군 |
|
반란 성공(단종폐위및,노산군강등)
|
단종복위운동 |
1455년 |
쿠데타 |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등 |
단종 |
수양대군 |
반란 실패
|
이시애의 난 |
1467년 |
변란 |
이시애 |
|
구성군, 남이, 강순 |
반란 실패
|
남이·강순의 난 |
1468년 |
쿠데타 |
남이 |
|
유자광 |
반란 실패
|
중종반정 |
1506년 |
쿠데타 |
박원종, 성희안, 유순정 |
진성대군 |
연산군 |
반란 성공
|
니탕개의 난 |
1583년 |
변란 |
니탕개, 우을기내, 맛니응개, 율보리, 사송아 |
|
신립, 이일, 정언신, 이순신 ,김시민,이억기 |
반란 실패(조정이 진관체제에서제승방략으로 방위체제 전환하는 계기가 됨)
|
정여립의 난 |
1589년 |
변란 |
정여립 |
|
정철 |
반란 실패
|
송유진의 난 |
1594년 |
변란 |
송유진 |
|
|
반란 실패
|
이몽학의 난 |
1596년 |
변란 |
이몽학 |
이몽학 |
김경창, 임억명 |
반란 실패, 내부 분열로 이몽학의 부하였던 김경창, 임억명이 이몽학을 살해함
|
인조반정 |
1623년 |
쿠데타 |
능양군, 이귀, 김류, 최명길 |
능양군 |
광해군 |
반란 성공
|
이괄의 난 |
1624년 |
변란 |
이괄, 한명련 |
흥안군 |
장만, 정충신, 남이흥 |
반란 실패, 이괄 일당 피살
|
이인좌의 난 |
1728년 |
변란 |
이인좌, 정희량, 박필현 |
밀풍군 |
박민웅, 오명항 |
반란 실패, 이인좌 일당 처형
|
홍경래의 난 |
1811년 ~ 1812년 |
내란 |
홍경래, 우군칙, 이제초, 김창시, 이희저, 홍총각 |
불명 |
이요헌, 김견신, 허항 |
서북지역차별에 항거한 반란. 관군이 진압하여 반란 실패, 홍경래 전사 및 일당 처형
|
임술민란 |
1862년 |
민란 |
유계춘, 김수만, 이귀재 |
불명 |
|
농민운동, 자진 해산, 반란 주도자 처형 및 원인 제공자 파면
|
반란명 |
연도 |
유형 |
반란자 |
추대자 |
진압자 |
결과
|
---|
임오군란 |
1882년 |
변란 |
훈련도감 소속 군인들 |
흥선대원군 |
마건충, 오장경, 정여창 |
군인들이 차별적인 처우에 분노한 반란. 군란 실패, 11명 사형
|
갑신정변 |
1884년 |
쿠데타 |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서광범, 홍영식 |
불명 |
청나라군 |
3일만에 실패, 텐진조약체결
|
동학농민운동 |
1892년 ~ 1895년 |
민란·내란 |
전봉준, 김개남, 손화중, 최시형, 손병희 |
불명 |
관군, 청나라군, 일본군 |
3차봉기에서 실패, 주동자 체포, 청일전쟁 발발
|
신축민란 |
1901년 |
민란 |
이재수, 강우백, 오대현 |
|
|
자진 해산, 반란 주도자 처형 및 원인 제공자 파면
|
여순사건 |
1948년 |
내란 |
김지회, 지창수 |
|
한국군
|
군인반란, 반란 실패 관련자 사형
|
5·16 군사 정변 |
1961년 |
쿠데타 |
박정희, 김종필, 박종규, 이낙선, 차지철 |
박정희 |
장면, 윤보선 |
반란 성공
|
12·12 군사 반란 |
1979년 |
쿠데타 |
전두환, 노태우, 허화평, 장세동, 유학성, 황영시 |
|
정승화, 장태완, 정병주, 김진기 |
반란 성공
|
5·17 쿠데타 |
1980년 |
쿠데타 |
전두환, 노태우, 허화평 |
전두환 |
|
반란 성공
|
이석기 내란 선동 사건 |
2013년 |
내란선동 |
이석기, 김홍열 |
|
|
반란 실패
|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준비 사건 |
2017년 |
쿠데타 |
|
|
|
반란 실패
|